논문 상세보기

미래혁신산업 인재양성을 위한 ‘기술경영전문대학원’ 교과과정 구성에 대한 연구 : 대학과 산업의 인식차이를 중심으로 KCI 등재

A research on the curriculum composition of Management of Technology(MOT) in Korea :Focusing on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universities and industri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848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900원
기술혁신연구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기술경영경제학회 (The Korea Society for Innovation Management & Economics)
초록

본 연구에서는 기술경영전문대학원 교과과정 구성에 대한 교원과 산업체의 인식차이에 대해서 조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IS2020 가이드라인과 기술경영전문 대학원 학위과정을 운영하는 대학들의 커리큘럼 현황을 바탕으로 ‘기술경영학 핵심영역’ 및 ‘기술경영학 교과목’의 중요요인들을 도출하고, 설문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기술경영학 핵심영역’의 ‘학문적 중요도’, ‘실무적 중요도’의 경우 각각 교원은 ‘기초’, ‘프로젝트’ 영역을, 산업체는 ‘방법론’, ‘기술’ 영역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술경영학 교과목’의 ‘학문적 중요도’, ‘실무적 중요도’의 경우 교원은 ‘기술경영개론’, ‘기술경영프로젝트’ 과목을, 산업체는 ‘기술경영 연구방법론’, ‘기술경영 프로젝트’ 과목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물은 향후 IS2020과 같이 기술경영학 교과과정에 대한 Frame work를 구성하는데 참고할 수 있는 학술적 의의가 있다. 나아가 향후 기술경영 전문대학원 등 직장인 재교육 학위과정을 운영하는 대학에서 학계와 산업계의 시각을 반영하여, 보다 효과적인 교육과정을 구성하는데 실무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함의를 갖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perceptions between universities and industries about the composition of MOT curriculum. Based on the IS2020 guidelines and the curriculum status of universities operating MOT, the key areas of MOT and important factors in the curriculum were designed. As a result of the survey analysis, in the case of ‘academic importance' and ‘practical importance' in the ‘core area of MOT,' universities recognize the 'basic' and 'project' areas, and industries recognize the 'methodology' and 'technology' areas as the most important. In the case of 'academic importance' and 'practical importance' in the 'MOT subjects,' universities recognize 'technology management introduction' and 'technology management project' subjects, and industries recognize 'technology management research methodology' and 'technology management project' as the most important subj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hold academic significance as they can serve as a reference for constructing a framework for MOT in the future, similar to IS2020. Furthermore, they have practical implications for designing more effective educational programs, taking into account the perspectives of academia and industry, especially in MOT and other re-education degree programs for working professionals.

목차
Ⅰ. 서 론
Ⅱ. 문헌연구
    1. 기술경영 교과과정에 관한 연구
    2. IS2020 교과과정 핵심영역
    3. 기술경영학 핵심영역
    4. 수도권 주요 기술경영전문대학원 교과과정 현황
    5. 기술경영학 핵심영역 및 대표교과목 설정
Ⅲ. 연구 방법
    1. 설문문항 설계
    2. 설문조사 실시
Ⅳ. 분석 결과
    1. 응답자 일반사항
    2. ‘기술경영학 교과과정’ 중요도에 대한 교원, 산업체의 인식차이
Ⅴ. 결 론
    1. 연구 요약 및 결론
저자
  • 방태웅(서강대학교 기술경영학협동과정 박사수료) | Taewoong Ba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