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서비스업 고성장기업의 혁신 특성에 관한 연구 : 혁신활동과 혁신성과를 중심으로 KCI 등재

A Study on the Innovation Characteristics of High Growth Companies in the Service Industry : Focusing on innovation activities and innovation performanc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848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700원
기술혁신연구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기술경영경제학회 (The Korea Society for Innovation Management & Economics)
초록

코로나 이후 시기가 도래하며 세계 각국은 빠른 경제 회복을 목표로 다양한 노력을 강구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고성장기업에 관한 관심 역시 지속해서 높아지고 있는데, 지금까지 이루어진 다양한 고성장기업의 연구를 통해 국가 경제발전이나 고용 창출에 있어 고성장기업의 높은 기여도가 입증되었기 때문이다. 이처럼 기존 고성장기업 관련 연구의 경우 국가 경제 차원, 특히 고용 창출에 있어서 고성장기업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혁신 관점에서 고성장기업의 역할을 언급하고 있는 연구는 많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업 재무 데이터와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의 2021년 한국기업혁신조사(KIS)(서비스업 분야)를 병합한 통합데이터를 구축하고 서비스업 고성장기업의 혁신 활동과 혁신성과에 대해 분석해보았다. 방법론 측면에서는 고성장기업이 갖는 특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선택편의 문제를 해결 하기 위해 성향점수매칭방법론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서비스업 고성장기업은 일반기업 대비 더 다양한 혁신 활동을 통해 더 많은 혁신성과물을 창출하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특히, 상품혁신이나 비즈니스 혁신성과물 창출에 있어서 고성장기업이 긍정적인 역 할을 한다는 것은 기존 경제·사회적 관점에서 강조되어오던 고성장기업의 중요성을 혁신성 장 관점으로 확대하여 해석할 수 있는 결과이다. 다만, 연구·개발 유형이나 협력 R&D에서는 일반기업과 차별점을 찾을 수 없었는데, 이는 협력 연구·개발 강화를 통해 고성장기업이 보 유한 혁신역량이 일반기업자들에게 파급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국가 혁신역량 강화를 위한 고성장기업 육성과 모니터링의 필요성, 고성장기업의 협력 활동 유인 통한 혁신의 파급효과 확대 등의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With the arrival of the post-COVID-19 period,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making various efforts with the aim of rapid economic recovery. In this respect, interest in high-growth companies is also continuously increasing because studies of various high-growth companies have proven their high contribution to national economic development and job creation. As such, studies related to existing high-growth companies emphasize the role of high-growth companies in the national economic dimension, especially in job creation. However, not many studies mention the role of high-growth companies from an innovation perspective. I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high-growth companies in the national economy by examining the impact on the economy and the share of high-growth companies in total sales. Accordingly, this study established integrated data by combining corporate financial data and the Korea Enterprise Innovation Survey (KIS, service sector) in 2021 by the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STEPI), and analyzed the innovation activities and innovation performance of high-growth companies us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ology. Looking at the analysis results, it was found that high-growth companies are creating more innovation performances through more diverse innovation activities than general companies. In particular, the fact that high-growth companies play a positive role in product innovation or business innovation outcomes can be interpreted by expanding the importance of high-growth companies that have been emphasiz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national economy to the perspective of innovative growth. However, no difference could be found in R&D types or cooperative R&D between high-groth firms and general firms, indicating that the innovation capabilities of high-growth companies need to spread to general companies through strengthening cooperative R&D. Based on the abov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aims to present implications such as the need to foster and monitor high-growth companies to strengthen national innovation capabilities, and the expansion of the spillover effect of innovation through incentives for cooperative activities of high-growth compani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고성장기업 관련 선행연구
    2. 혁신의 정의
    3.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Ⅲ. 연구방법론
    1. 성향점수매칭법 개요
    2. 본 연구에서의 성향점수매칭법 활용 방법
Ⅳ. 분석 결과
    1. 분석 데이터 및 변수의 조작적 정의
    2. 성향점수매칭방법론 적용 결과
    3.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저자
  • 이원빈(산업연구원 국가균형발전 연구센터 선임연구위원) | Weonvin Lee
  • 오승환(경상국립대학교 기술경영학과 조교수) | Seunghwan Oh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