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염료제거용 효소고정화막 생물반응기: 리뷰 KCI 등재

Enzyme Immobilized Membrane Bioreactor for Removal of Dye: A Review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892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멤브레인 (Membrane Journal)
한국막학회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초록

효소 고정화 막 생물반응기(EMBRs)는 폐수 내의 염료를 처리하는 새로운 방법입니다. 이 분야는 효소의 효능과 환경에 대한 높은 저항성 때문에 많은 양의 연구가 진행되었습니다. 효소 자체와 해당 효소의 구조를 모두 포함하는 다양한 방법이 EMBR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생물반응기 자체는 염료 제거의 필요에 맞게 변형될 수 있습니다. 효소적 생물반응기 부터 산화 그래핀 또는 탄소 나노튜브와 같은 나노구조를 사용하는 것까지 다양합니다. 또한 TiO2와 같은 나노입자는 EMBR 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습니다. 폴리머 기반의 막 지지 구조는 또한 효능 증가의 문제에 접근하는 다양한 방 법을 포함합니다. 본 바와 같이, 지난 수십 년 동안 EMBR을 사용하는 이 문제에 대한 다양한 접근법이 수행되었습니다. 이 검토는 방법론을 요약하고 EMBR에 대한 다양한 개선 사항을 설명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Enzyme Immobilized Membrane Bioreactors (EMBRs) are a novel method to treat dyes within wastewater. Due to their efficacy and high resistance to the environment, there has been a large amount of research being done in this area. There are a variety of ways to approach EMBRs that include both the enzyme itself and the structure of said enzymes. The bioreactor itself can be modified to suit the needs of the dye removal. Ranging from Enzymatic bioreactors to utilizing nanostructures such as graphene oxide or carbon nanotubes. Furthermore, nanoparticles such as TiO2 can be used to enhance the EMBR further as well. The polymer-based membrane supporting structure also includes a variety of different ways to approach the problem of increasing efficacy. As seen, during the past decades, different approaches to this issue that utilize EMBRs have been done. This review aims to summarize the methodologies and describe the various improvements to EMBRs that have been made.

목차
1. Introduction
2. Enzymatic Membrane Bioreactor
    2.1. Graphene oxide
    2.2. Carbon nanotube
    2.3. TiO2
    2.4. Polymer
3. Conclusions
Reference
저자
  • 유한정(연세대학교 언더우드국제대학 융합과학공학부 바이오융합전공) | Yuhan Jeong (Bio-Convergence, Integrated Science and Engineering Division, Underwood International College, Yonsei University, Incheon 21983, Republic of Korea)
  • 라즈쿠마 파텔(연세대학교 언더우드학부 융합과학공학부 에너지환경융합전공) | Rajkumar Patel (Energy and Environmental Science and Engineering, Integrated Science and Engineering Division, Underwood International College, Yonsei University, Incheon 21983, Republic of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