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반도 주변 화산 화산재의 한반도 영향 가능성 분석 KCI 등재

Probabilistic Analysis of Influence of Volcanic Ash from Volcanoes Adjacent to Korean Peninsul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904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풍공학회지 (Journal of the Wind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한국풍공학회 (Wind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초록

한반도를 포함하는 동아시아 지역에 영향을 미치거나 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는 화산으로는 일본 화산과 백두산을 포함하여
중국의 동부지역에 위치한 수 개의 활화산은 물론 거리는 3,000km 정도 떨어져 있으나 한반도 주변의 항공 운항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활화산이 러시아의 캄차카반도에도 다수 분포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5년~2013년 기간의 기상 자료를 기반으
로 주요 화산의 가상 분화 시나리오에 의해 수행된 화산재 확산 해석 결과를 이용하여 화산재의 한반도 영향 가능성을 확률적으로 분
석하였다. 그 결과 백두산과 아소산의 경우 화산폭발지수 7로 분화하는 경우, 7월에서 9월에 분화하는 경우 한반도 전역에 영향을 미
칠 가능성이 가장 클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울릉도도 유사한 기간에 분화하는 경우 영향의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을 것으로 분석되
었다, 이는 여름철에 나타나는 동아시아 지역 주변의 압력 배치 때문으로 파악되었다.

The volcanoes that can have an impact or cause damage in the East Asian region, including the Korean Peninsula, consist of several active volcanoes located in the eastern region of China, including Japan and Baekdu volcanoes. Although some of volcanoes are approximately 3000km away, there are volcanoes in Russia's Kamchatka Peninsula that can decisively affect air travel around the Korean Peninsula. In this study, based on meteorological data from 2005 to 2013, the probabilistic analysis of the potential influence of volcanic ash on the Korean Peninsula was conducted using hypothetical eruption scenarios of major volcanoes. The results indicate that in the case of Baekdu and Aso volcanoes erupting with a volcanic explosivity index of 7, the highest probability of affecting the entire Korean Peninsula occurs when the eruption takes place between July and September. Additionally, if Ulreungdo experiences a similar eruption during the same period, there is a potential impact. This is attributed to the pressure distribution in the East Asian region during the summer season.

목차
I. 서 론
II. 대기 및 화산재 확산 수치 모형
    2.1 대기 수치 모형
    2.2 화산재 확산 수치 모형
III. 화산 분화 시나리오 설정
    3.1 분화 시나리오
    3.2 대상 영역
    3.3 화산재의 한반도 영향 검토 기준
IV. 화산 분화 시나리오별 한반도 영향 가능성
    4.1 백두산
    4.2 아소산
    4.3 울릉도
    4.4 후지산과 타루마이산
V. 결 론
감사의 글
참고문헌
저자
  • 이승수(충북대학교 토목공학부 교수) | Lee, Sungsu
  • 함희정(강원대학교 건축토목환경공학부 교수) | Ham, Hee Jung Corresponding author
  • 김유정(국립재난안전연구원, 공업연구사) | Kim, Yoo J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