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대류가용잠재에너지와 대류억제도에 입각한 여름철 습윤 대류 예측성에 대한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Predictability of Moist Convection during Summer based on CAPE and CI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925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1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본 연구는 여름 및 초가을(6-9월)에 한반도에서 관측된 레윈존데 사운딩을 분석하여 대류가용잠재에너지와 대류 억제도가 깊은 습윤 대류 및 강수 발생 예측에 유용성이 있는지를 확인해보았다. 레원존데 사운딩은 열역학적으로 깊은 습윤 대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고 대류가용잠재에너지 저 대류억제도 그룹과 대류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는 저 대 류가용잠재에너지 고 대류억제도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이후, 두 그룹의 12시간 누적 강수량, 12시간 평균 최저운고, 12시간 평균 중하층운량의 분포 차이가 유의미한지 여부를 통계적 가설검정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무강수인 경 우 21:01-09:00 KST 시간대의 12시간 평균 최저운고를 제외하고 두 그룹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이 검증 되었다. 이 결과는 고 대류가용잠재에너지 저 대류억제도 그룹이 저 대류가용잠재에너지 고 대류억제도 그룹보다 깊은 습윤 대류 및 강수 발생에 더 유리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nalyzed rawinsonde soundings observed during the summer and early fall seasons (June, July, August and September) on the Korean peninsula to examine the utility of the Convective Available Potential Energy (CAPE) and Convective Inhibition (CIN) in predicting the occurrence of deep moist convection and precipitation. Rawinsonde soundings are categorized into two groups based on thermodynamic criteria: high CAPE and low CIN represent a high potential for deep moist convection; low CAPE and high CIN indicate conditions unfavorable for deep convection. A statistical hypothesis test i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the two group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erms of 12-hour cumulative precipitation, 12-hour mean cloud base, and 12-hour mean mid-level cloud cover. The results, in the case of no-precipitation, reveal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except for the 12-hour mean cloud base during the 21:01-09:00 KST time period. This suggests that the group characterized by high CAPE and low CIN is more conducive to the occurrence of deep moist convection and precipitation than the group with low CAPE and high CIN.

목차
1. 서 론
2. 자 료
    2.1. 레윈존데 관측자료
    2.2. ASOS와 AWS 관측자료
3. 분석 변수 및 방법
    3.1. 대류가용잠재에너지와 대류억제도
    3.2. 강수량과 구름 관련 변수들
    3.3. 가설검정
4. 분석 결과
    4.1. 두 그룹의 강수 발생 비율 비교
    4.2. 12시간 누적 강수량 가설검정
    4.3. 12시간 평균 최저운고 가설검정
    4.4. 12시간 평균 중하층운량 가설검정
    4.5. 강수 유무에 따른 운형별 발생 비율
5. 결 론
감사의 글
저자
  • 맹도열(강릉원주대학교 대기환경과학과, 25457, 강원도 강릉시 죽헌길 7) | Doyeol Maeng (Department of Atmospheric and Environmental Sciences,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Gangneung-si 25457, Gangwon-do, Korea)
  • 강성락(강릉원주대학교 대기환경과학과, 25457, 강원도 강릉시 죽헌길 7) | Songlak Kang (Department of Atmospheric and Environmental Sciences,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Gangneung-si 25457, Gangwon-do,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