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가구 소득과 인프라 접근성의 관계 분석: 서울시를 대상으로 KCI 등재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ehold Income and Infrastructure Acces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926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한국지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한국지도학회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초록

우리 사회는 1960년대 산업화 이후 경제, 정치 등 다양한 영역에서 급속한 근대화와 압축 성장을 이루었다. 하지만 이러한 성장 속에서 계층 간 소득 격차와 양극화가 심화되는 등 여러 문제가 발생했고, 이는 국토 전체적으로는 물론 도시 내에서도 지역 간 불균형 발전을 야기했다. 본 연구는 소득 수준이 지역 간 불균형 발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가구별 연평균 소득과 인프라 접근성 간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연구에서는 서울시 소득 수준 데이터와 인프라 데이터를 사용하여 소득 수준과 인프라 접근성 간 관계를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해 분석하였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서울시이며, 시간적 범위는 2017년으로 설정했다. 인프라 시설은 교육, 교통, 문화・여가, 보건, 체육 관련 시설로 구분했으며, 소득 수준과 함께 인구 밀도, 인구 수, 중심업무지구 여부 등이 접근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소득 수준에 따라 인프라 접근성에 차이가 나타난 것을 확인했고, 교통 인프라를 제외한 모든 분야에서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가 도출되었다. 또한, 소득 수준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분야와 소득 수준에 따라 나타나는 인프라 접근성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After industrialization in the 1960s, Korean society experienced rapid modernization and compressed growth in a wide range of areas such as economy and politics for a short period of time. However, in this trend, the income gap and polarization between classes may deepen, causing spatial inequality. This study confirm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come level and infrastructure accessibility in order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spatial inequality in the income class. Using big data, the relationship between income level and infrastructure accessibility was quantitatively analyzed using income level data and infrastructure data including accurate location. The spatial scope was set to Seoul City, and the temporal scope was set to 2017. The analysis used variables affecting infrastructure accessibility, including income level, population density, population, CBD, and detailed facility classification variables, and infrastructure facilities were largely classified into education, transportation, culture/leisure, health, and sports facilitie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infrastructure accessibility according to income level, and a high correlation was derived in all infrastructure areas except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confirming that a significant relationship existed between income level and infrastructure accessibility. In addition, the infrastructure sector that responds most sensitively to changes in income level and the difference in infrastructure accessibility according to income level were identified.

목차
I. 서론
II. 선행연구
    1. 사회적 불평등의 개념
    2. 인프라 접근성에 대한 연구
III. 데이터 및 분석 방법
    1. 데이터
    2. 분석 방법
IV. 분석 결과
V. 결론
저자
  • 정예원(경희대학교 이과대학 지리학과 석사) | Yewon Jeong (M.Sc., Department of Geography, Kyung Hee University)
  • 홍성연(경희대학교 이과대학 지리학과 부교수) | Seong-Yun Hong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Geography, Kyung Hee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