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공동체 미학의 애니메이션 캐릭터 창조에 대한 응용 연구 : 중국 애니메이션 영화 <강자아> 사례를 중심으로 KCI 등재

Applying Community Aesthetics to the Creation of Animation Characters : A case study of the Chinese animated fil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931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2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공동체 미학이 애니메이션 캐릭터 창조에 어떻게 적 용되는지를 탐구하는 것으로, 중국 애니메이션 영화 <강자아>를 사례로 삼았다. 본 논문은 텍스트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강자아> 내의 캐릭터 와 줄거리를 심층 분석함으로써 공동체 미학의 구체적인 적용을 탐구한 다. 이에는 공동체 미학의 기본 개념과 이론 틀 소개는 물론 <강자아> 내 주요 캐릭터의 감정 공명과 연결에 대한 심층 분석을 포함한다. 공동 체 미학이 문화 전달 분야에서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강자아>의 사례 분석을 통해 공동체 요소가 캐릭터 형성과 스토리 전개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준다.연구 결과는 공동체 미학이 애니메이션 캐릭터 창조에 중요한 적용 가치를 가지며 <강자아>는 공동체 미학의 개념을 성공적으로 활용 했음을 보여준다. 이는 중국 애니메이션 영화의 창작을 풍부하게 하고 관객에게 깊은 감정 체험과 문화적 성찰을 제공한다. 그것은 중국 애니 메이션 영화의 발전에 유익한 시사점과 참고를 제공하며, 캐릭터의 감정 적 깊이와 복잡성을 통해 관객이 감정 공명을 느끼고 영화의 줄거리에서 공동체의 힘을 체감할 수 있도록 한다. 공동체 미학의 적용은 관객의 감 정적 체험과 문화적 이해를 깊게 하는 데 도움이 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communitarian aesthetics are applied to the creation of animation characters, using the Chinese animated film <Jiang Ziya> as a case study. This thesis employs textual research methods to conduct an in-depth analysis of the characters and plot within <Jiang Ziya>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pecific application of communitarian aesthetics. This includes an introduction to the basic concepts and theoretical framework of communitarian aesthetics as well as a detailed analysis of the emotional resonance and connections of the main characters within <Jiang Ziya>. It elucidates the importance of communitarian aesthetics in the field of cultural transmission and demonstrates, how community elements affect character formation and story development. The findings indicate that communitarian aesthetics have significant applicative value in the creation of animated characters and that <Jiang Ziya> has successfully utilized the concepts of communitarian aesthetics. It offers valuable insights and references for the development of Chinese animated films, suggesting that through the emotional depth and complexity of the characters, the audience can experience emotional resonance and feel the power of the community within the film's narrative.

목차
Ⅰ. 서론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 목적과 연구 방법
Ⅱ. 이론적 배경
    1. 공동체 미학의 개념과 기원
    2. 공동체 미학의 연구 내용
    3. 문화 창작에서의 공동체 미학의 활용
Ⅲ. 공동체 미학의 애니메이션 <강자아>캐릭터 적용
    1. 공동체 미학의 지역 정체성이 캐릭터 디자인에 미치는 영향
    2. 공동체 미학의 문화 교류가 캐릭터 서사에 미치는 영향
    3. 공동체 미학의 사회적 목적이 캐릭터 형성에 미치는 영향
Ⅳ. 결론
<참고문헌>
저자
  • Ding Yun(세종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