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중년기 성인의 노화불안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인지적 유연성과 자기자비의 순차매개효과 KCI 등재

The Serial 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 Flexibility and Self-compa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ging Anxie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933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5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중년기 성인의 노화불안이 인지적 유연성과 자기자비 의 수준을 감소시키는 순차매개효과를 통해서 심리적 안녕감에 부정적 영 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경험적으로 검증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40~64 세 연령의 중년기 성인 남녀 371명의 자기보고 자료를 수집하여 통계적으 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중년기 성인의 노화불안은 인지적 유연성, 자기 자비, 심리적 안녕감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 다. 또한 중년기 성인의 노화불안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 을 인지적 유연성과 자기자비가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밝혀져서, 이 연구의 가설이 검증되었다. 이것은 노화불안을 경험하고 있는 중년기 성인 의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키는 데 인지적 유연성을 회복하고 자기자비를 함양하는 개입전략이 유익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였다. 마지막으로 이 러한 결과의 임상적 함의 및 연구의 한계를 논의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erial 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 flexibility and self-compa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ging anxie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middle age adults. Self-report data collected from 371 male and female adults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cognitive flexibility and self-compassion ser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ging anxie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Based on the findings, authors discussed clinical implications and methodological limitations of this study in the context of psychological intervention.

목차
Ⅰ. 서론
Ⅱ. 방법
    1. 연구참여자
    2. 측정도구
    3. 자료분석
Ⅲ. 결과
    1.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2. 단순매개효과 분석
    3. 순차매개효과 분석
IⅤ. 논의
<참고문헌>
저자
  • 조은아(울산시남구보건소) | Cho Eunah (Ulsan Namgu Public Health Service)
  • 유성진(한양사이버대학교) | Yoo Seongjin (Hanyang Cyber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