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민주시민교육과 통일교육의 관계모델 탐색 : 관계유형과 사례논의의 시사점 KCI 등재

Exploring the relationship model of conflicting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nd unification education : Implications of relationship types and case discussion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935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6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본 글의 목적은 민주시민교육과 통일교육이 서로 충돌하지 않는 조화 로운 관계모델을 정립하기 위하여 이론적인 차원에서 민주시민교육과 통 일교육의 관계유형을 논의하고, 바람직한 유형을 <민주시민교육-통일교 육 상호보완형 모델>로 설정하여 이것에 대한 적절한 경험적 사례로 서 독 연방정치교육원의 정치교육 사례를 분석하여 이것이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을 찾는 데 있다. <민주시민교육-통일교육 상호보완형 모델>이 강 조하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우선 통일교육과 통일정책을 구분한 상태에 서 민주시민교육의 내용은 자유공화주의적 규범에 근거한 아시아 지역정 체성을 형성하는 ‘지역통합’을 강조하는 게 필요하다. 그리고 통일교육의 내용은 통일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교육보다는 바람직한 통일의 방법론과 평화적 교류협력 같은 정책을 소개하는 교육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iscuss the relationship types between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nd unification education at a theoretical level in order to establish a harmonious relationship model in which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nd unification education do not conflict with each other, and the desirable type is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Unification Complementary education model>, and as an appropriate empirical case for this, the case of political education at the Federal Institute for Political Education in West Germany is analyzed to find the implications this gives us. What the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Unification Education Complementary Model> emphasizes is as follows. first, while distinguishing between unification education and unification policy, the content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needs to emphasize ‘regional integration’ that forms Asian regional identity based on liberal republican norms. and the content of unification education needs to introduce policies such as desirable unification methodology and peaceful exchange and cooperation rather than education that emphasizes the necessity of unification.

목차
Ⅰ. 서론: 통일교육과 민주시민교육의 충돌관계 해법은?
Ⅱ. 이론적 논의: 민주시민교육과 통일교육의 관계유형
Ⅲ. 민주시민교육-통일교육 상호보완형 모델: 서독 정치교육 사례
    1. 사례설정 이유
    2. 서독 정부가 통일교육 대신 정치교육을 강조했던 배경
    3. 서독 연방정치교육원 시스템의 의의와 한계
Ⅳ. 서독 정치교육이 주는 시사점
    1. 통일 전 서독 정치교육 상황
    2. 통일 후 동독 정치교육 상황
    3. 서독의 서방통합정책과 정치교육이 주는 시사점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채진원(경희대 공공거버넌스연구소) | Jin-Won Chae (Institute of Public Governance, Kyung Hee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