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탈진실’ 시대 미디어 리터러시 개념과 공영방송의 역할 : BBC와 EBS 콘텐츠 비교 연구 KCI 등재

Media Literacy and the Role of Public Broadcasting in the Post-trust Era : A Comparative Analysis of BBC and EBS Conten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935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7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본 연구는 탈진실 시대에 한국의 공영방송이 추구해야 할 디지털 미디 어 리터러시의 개념과 능력은 무엇이며 시민의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증 진을 위해 우선순위에 두어야 할 핵심 가치가 무엇인지 고찰했다. 이를 위해 대표적인 공영방송의 준거점으로 손꼽히는 영국 BBC와 국내 교육 공영방송 EBS가 제공하는 미디어 리터러시에 관한 콘텐츠를 비교했다. 연구 결과, BBC와 EBS는 공통으로 비판적 이해(critical thinking)를 미 디어 리터러시의 핵심 가치로 보았다. 특히, BBC는 신뢰할 수 있는 뉴스 와 오정보나 허위 정보를 판단할 수 있는 능력, 소셜미디어의 알고리즘 과 에코 체임버(echo chamber)가 사람들의 편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이 해하는 능력과 비대면 커뮤니케이션에서 혐오나 증오 표현 등의 부적절 한 언어적 비언어적 행동이 타인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인지하는 능력 을 미디어 리터러시의 핵심 역량으로 보았다. 결론적으로, ‘탈진실’ 시대 에 학자, 교육자, 전문가가 협력해 국내 교육 현실과 미디어 환경에 맞는 미디어 리터러시 개념을 정립하고, 이에 따라 청소년과 시민의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증진과 디지털 웰니스(Wellness)를 위한 공영방송의 콘텐 츠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explores digital media literacy concepts, skills, and core values for South Korean public service broadcasters in the post-truth era, aiming to enhance citizen media literacy.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between the media literacy content of the UK's BBC, used as a reference point, and that of Korea's public education broadcaster, EBS. Both organizations prioritize critical thinking. The BBC, in particular, emphasized the ability to discern trustworthy news from misinformation and disinformation, understanding the influence of social media algorithms and echo chambers on biases, and recognizing the impact of inappropriate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such as hate speech on the internet. These are crucial media literacy skills, especially in the pursuit of digital wellness. Therefore, this article suggests that in the post-truth era, collaboration among scholars, educators, and experts is essential for developing a media literacy framework that aligns with the domestic educational system and media landscape, with the goal of enhancing the media literacy of both youth and the the public in the context of digital wellness.

목차
Ⅰ. 서론
II. 이론적 논의
    1. ‘미디어 리터러시’의 정의
    2. 미디어 리터러시 필수역량과 공영방송의 역할
Ⅲ.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1. 미디어 리터러시에 관한 BBC 콘텐츠 내용 및 특징
    2. 미디어 리터러시에 관한 EBS 콘텐츠 내용 및 특징
V. 결론
<참고문헌>
저자
  • 문미리(경남대학교) | Miri MOON (Kyungnam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