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HSI와 MaxEnt를 통한 나도승마 핵심서식지 발굴 연구 KCI 등재

Study of the Derive of Core Habitats for Kirengeshoma koreana Nakai Using HSI and MaxEn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935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6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본 연구는 전문가 기반형 모델(Habitat Suitability Index)의 한계로 지적되는 주관적 기준, 통계분석의 부재 등과 통계기반형 모델(MaxEnt)의 한계로 지적되는 현장검증, 전문가 의견 반영 등의 극복을 위하여 각각의 모델을 개발하여 통합하는 방식으로 핵심서식지를 도출하였다. 핵심서식지 발굴을 위해 문헌분석 및 공간분석자료를 바탕으로 전문가 심층면담을 진행하였고, 전문가 자문과 GIS 도면 구축 가능성을 고려하여 모델을 개발하였다. 주요 환경변수는 식생대, 임상, 임분밀도, 연평균 강수량, 유효토심으로 선정되었다. 그 결과 현재 나도승마가 분포하고 있는 16지점 중 15지점이 핵심서식지로 나타났으며, 개발된 모델은 약 93.75%의 높은 정확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전체 연구대상지의 약 27.8%가 핵심서식지로 나타남에 따라, 추후 서식변수 및 공간자료 정밀화를 통한 모델의 고도화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높은 등급으로 확인된 서식지라도 대상종의 서식유무 파악을 위한 현장검증은 필수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하지만,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HSI와 MaxEnt의 상호보완적 활용은 생물종의 분포와 서식지 이용 특성을 통하여 적합 서식지를 예측하고, 신규 서식지 발굴 및 대체서식지 선정 등 다양한 방면으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core habitat of the Kirengeshoma koreana Nakai utilizing Habitat Suitability Index (HSI) and Maximum Entropy (MaxEnt) models. Expert-based models have been criticized for their subjective criteria, while statistical models face difficulties in on-site validation and integration of expert opinions. To address these limitations, both models were employed, and their outcomes were overlaid to derive the core habitat. Five variables were identified through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and spatial analysis based on appearance coordinates. The environmental variables encompass vegetation zone, forest type, crown density, annual precipitation, and effective soil depth. Through surveys involving six experts, importance rankings and SI (Suitability Index) scores were established for each variable, subsequently facilitating the creation of an HSI map. Using the same variables, the MaxEnt model was also executed, resulting in a corresponding map, which was merged to construct the definitive core habitat map. Out of 16 observed locations of K. koreana, 15 were situated within the identified core habitat. Furthermore, an area historically known to host K. koreana but not verified in the present, Mt. Yeongchwi, was found to lack a core habita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developed models exhibit a high degree of accuracy and effectively reflect the current ecological landscape.

목차
서 론
연구방법
    1. 연구대상지 및 대상종의 개괄
    2. 서식지 특성 분석
    3. 분석모델 구동
결과 및 고찰
    1. HSI 모델 개발 결과
    2. HSI 분석 결과
    3. MaxEnt 개발 결과
    4. MaxEnt 종분포모형 분석
    5. 핵심서식지 선정
REFERENCES
저자
  • 김선령(국립생태원 멸종위기종복원센터 전임연구원) | Sun-Ryoung Kim (Research Center for Endangered Species,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Yeongyang-gun, 36531, Republic of Korea)
  • 장래하(국립생태원 멸종위기종복원센터 선임연구원) | Rae-Ha Jang (Research Center for Endangered Species,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Yeongyang-gun, 36531, Republic of Korea )
  • 도재화(국립생태원 멸종위기종복원센터 팀장 ) | Jae-Hwa Tho (Research Center for Endangered Species,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Yeongyang-gun, 36531, Republic of Korea )
  • 김민한(국립생태원 멸종위기종복원센터 전임연구원) | Min-Han Kim (Research Center for Endangered Species,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Yeongyang-gun, 36531, Republic of Korea)
  • 최승운(국립생태원 멸종위기종복원센터 센터장) | Seung-Woon Choi (Research Center for Endangered Species,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Yeongyang-gun, 36531, Republic of Korea)
  • 윤영준(국립생태원 멸종위기종복원센터 선임연구원) | Young-Jun Yoon (Research Center for Endangered Species,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Yeongyang-gun, 36531, Republic of Korea )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