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국립공원 재계획 기준과 방법의 적절성 분석 KCI 등재

Analyze the Suitability on the Criteria and Methods of National Park Re-planning,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936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8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본 연구는 국립공원 재계획중 타당성조사 기준과 방법의 적절성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가야산국립공원, 설악산과 주왕산국립공원은 절대평가(제2차) 방법이 상대평가(제3차) 보다 ‘해제 대상’이 낮은 비율로 도출되었다. 제3차 평가방 법이 해제가능지역 10%라는 비율을 정해놓고 해제보다는 존치를 통한 공원면적 유지를 지향한 방법임에도 절대평가 방법이 결코 해제가능 지역을 더 많이 추출하지는 않았다. 연구대상지에 제2차와 제3차 생태기반평가를 적용했을 때 2011년 실제 해제지역이 나타나는지를 분석한 결과 제2차, 제3차 생태기반평가 모두 해제지역을 반영하지 못했다. 생태기반평가는 해제지역을 결정하는 중요한 의사결정 수단이 아닌 보조수단일 뿐이었다. 공원계획 타당성조사의 구역조정 중 해제는 외적 요소인 상호교환, 해제기준의 우선적용 등이 더욱 중요하게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appropriateness of the criteria and methods of the feasibility study for national park re-planning. The rate of ‘release area’ was derived at a lower rate in the absolute evaluation (the second) than the relative evaluation(the third) Seoraksan and Juwangsan National Parks as well as Gayasan National Park. Despite the third evaluation method aiming to maintain park area through retention by setting the areas available for release as 10% rather than applying release, it was found that the absolute evaluation method did not derive more areas available for release. When the second and third ecology-based assessments were applied to study sites, both second and third ecological-based assessments showed that the actual release areas were not reflected in the extraction in 2011. Consequently, it was found that the ecological-based assessment was only a means of assistance instead of a means of critical decision-making for determining the release area. From the district adjustment of the park planning easibility study, it can be determined that interactive exchange and priority application of release criteria as external factors acted more significantly.

목차
서 론
연구방법
    1. 연구대상지
    2. 분석방법
결과 및 고찰
    1. 국립공원 재계획중 구역조정
    2. 공원재계획(제2차, 3차) 기준과 방법 비교
    3. 공원재계획을 위한 제2차, 제3차 타당성조사 방법 적용
REFERENCES
저자
  • 홍성운(㈜케이종합건설 대표) | Sung-Woon Hong (K General Construction Co., 1521 Chiakro Wonju, Korea)
  • 조우(상지대학교 조경산림학과 교수) | Woo Cho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Forest Science, Sanigji Univ., 83 Sangjidaegil Wonju,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