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기후위기 해결책으로서 해양기반기후행동을 위한 국제적 논의동향에 대한 소고 : 통합적 접근과 상호혜택 증진을 중심으로 KCI 등재

International Trends of Ocean-based Climate Actions as a Solution for Climate Crisis : Focused on Integrated Approach and Multi-Benefi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945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해양환경안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해양환경안전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초록

해양은 인간이 발생시킨 대기 중 탄소를 흡수하고 탄소가 대기 중에 더욱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는 등 국제 탄소 순환에서 중요 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당사국총회 및 주요 협상의제에서 해양 분야는 기후변화에 의한 희생자로 여겨 진 반면, 기후해결을 위한 해결책으로서는 크게 주목받지 못하였다. 최근 해양과 기후시스템이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고 해양은 기후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그 동안 다루지 않았던 수많은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인식이 제고되면서, 해양을 기반으로 한 기후 행동을 강화 하기 위한 논의를 시작하고 있다. UNFCCC는 2020년부터 해양과 기후변화 이슈를 통합하고 이를 강화하기 위한 논의의 장으로서 ‘해양대 화’를 개최하며, 해양기반기후행동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과 도전과제 등을 논의·공유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해양기반기후행 동에 대한 국제적 논의 배경과 주요 내용을 살펴보고, 해양기반기후행동이 추구해야 하는 내용의 범위와 이를 달성하기 위한 방향에 대 한 견해를 제시해보았다. 그리고 해양기반기후행동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통합적 접근과 상호혜택의 증진 등을 위한 과제를 제시 하고, 이를 기반으로 국내에서 해양기반기후행동을 강화하기 위한 과제를 제안하였다.

The ocean plays a vital role in the international carbon cycle, absorbing human-induced atmospheric carbon and preventing further atmospheric carbon accumulation. However, while the ocean had been considered a victim of climate change, it did not receive much attention as a solution for climate change in the major agenda of UNFCCC. Recently, a growing awareness that the ocean can provide numerous potentials to handle untapped issues to address the climate crisis has arisen, which has prompted discussions to strengthen ocean-based climate action. Since 2020, UNFCCC “Ocean and climate change dialogue” has been a forum to integrate and strengthen the ocean-climate nexus. This calls for integrating ocean action into climate action and the relevant sectors. In this regard, this study examined the background and international trends of ocean-based climate action and presented the author’s perspective on the scope of content that such action should pursue and the direction to achieve it. In addition, this study identified tasks of the integrated approach and advancement of co-benefit as ways to strengthen ocean-based climate action, and it suggested domestic countermeasures for the Korean marine policy on climate change based on this.

목차
1. 들어가며
2. 국제적 논의 배경 및 주요 내용
    2.1 해양-기후변화 논의배경
    2.2 해양대화의 주요 내용
3. 해양기반기후행동 패러다임의 범위와 방향
4. 포괄적인 해양기후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을위한 과제
    4.1 통합적 접근
    4.2 상호혜택의 증진
    4.3 이행 강화
5. 국내 해양 기후변화 정책에 대한 과제
    5.1 통합적 접근과 관련하여
    5.2 상호혜택의 증진과 관련하여
    5.3 이행 강화와 관련하여
6. 결 론
Acknowledgement
References
저자
  • 김은환(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법연구부 전문연구원) | Yinhuan Jin (Full-time Research Scientist, Ocean Law Research Department,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and Technology (KIOST) Busan, 49111, Korea) Corresponding author
  • 윤소라(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정책연구센터 선임연구원) | Sora Yun (Senior Researcher, Ocean Policy Research Center,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and Technology (KIOST), Busan, 49111,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