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암모니아 연료추진 선박의 벙커링 누출 영향에 관한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Hazard Area of Bunkering for Ammonia Fueled Vesse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948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해양환경안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해양환경안전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초록

국제해사기구의 온실가스 감축 노력으로, 해운 산업에서는 저탄소 연료로서 액화천연가스와 메탄올, 그리고 무탄소 연료로서 수소와 암모니아가 대두되고 있으며, 환경 친화적인 연료로 평가되고 있다. 특히 암모니아의 경우 화물로써 운반선을 통한 상당 기간의 운항 경험을 보유하고 있으며, 24년 하반기에는 암모니아 선박 엔진이 공급 예정으로, 상용화가 상대적으로 용이한 연료 중 하나로 간주 되고 있다. 그러나 암모니아를 연료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독성의 문제점을 극복해야할 필요가 있다. 5ppm 수준의 농도에서 후각으로 판 단이 가능하며, 300ppm 이상을 30분 이상 흡입할 경우 회복이 불가능한 상태에 이를 수 있는 독성물질이다. 화학물질안전원에서 제공하는 KORA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암모니아 벙커링시 누설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에 대하여 평가하였으며, 1분간의 누설로 인해서 반경 약 7.5km에서 5ppm의 영향이 있을 수 있으며 이는 부산시 주요지역에 해당하며, 인체에 치명적일 수 있는 300ppm의 경우 벙커링 인근 인구 밀집지역 및 학교등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암모니아 벙커링 관련 법제도가 부재한 상태로 작은 누설 에도 광범위한 지역에 독성의 영향이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지자체, 소방, 환경관서 등과의 유기적인 체계 구축이 마련될 수 있도록 법제 도 개발이 필요하다.

As part of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effort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the maritime industry is exploring low-carbon fuels such as liquefied natural gas and methanol, as well as zero-carbon fuels such as hydrogen and ammonia, evaluating them as environmentally friendly alternatives. Particularly, ammonia has substantial operational experience as cargo on transport ships, and ammonia ship engines are expected to be available in the second half of 2024, making it relatively accessible for commercial use. However, overcoming the toxicity challenges associated with using ammonia as a fuel is imperative. Detection is possible at levels as low as 5 ppm through olfactory senses, and exposure to concentrations exceeding 300 ppm for more than 30 min can result in irreparable harm. Using the KORA program provided by the Chemical Safety Agency, an assessment of the potential risks arising from leaks during ammonia bunkering was conducted. A 1-min leak could lead to a 5 ppm impact within a radius of approximately 7.5 km, affecting key areas in Busan, a major city. Furthermore, the potentially lethal concentration of 300 ppm could have severe consequences in densely populated areas and schools near the bunkering site. Therefore, given the absence of regulations related to ammonia bunkering, the potential for widespread toxicity from even minor leaks highlights the requirement for the development of legislation. Establishing an integrated system involving local governments, fire departments, and environmental agencies is crucial for addressing the potential impacts and ensuring the safety of ammonia bunkering operations.

목차
1. 서 론
2. 위험 독성 농도의 설정
    2.1 암모니아의 독성
    2.2 암모니아의 노출
3. 벙커링 시나리오 설정
    3.1 벙커링 대상 지역
    3.2 벙커링 대상 선박
    3.3 벙커링 상태 및 누설 가정
4. 암모니아 독성 위험지역 해석
    4.1 소프트웨어 선정
    4.2 주요 인자 설정
    4.3 액화 암모니아 벙커링 누설 영향평가(1분)
    4.4 액화 암모니아 벙커링 누설 영향평가(10분)
5. 결 론
사 사
References
저자
  • 신일섭(방재시험연구원 책임연구원) | Ilsup Shin (Senior Researcher, Life & Spatial Safety Research Center, Fire Insurers Labatories of Korea, Yeoju 12661, Korea)
  • 천정민(방재시험연구원 책임연구원) | Jeongmin Cheon (Senior Researcher, Life & Spatial Safety Research Center, Fire Insurers Labatories of Korea, Yeoju 12661, Korea)
  • 이지현(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책임연구원) | Jihyun Lee (Head Researcher/Ph.D., Korea Testing & Research Institute, Changwon 51391,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