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요대(遼代) 연유도기(鉛釉陶器)의 성행과 다원화 KCI 등재

Prevalence and Pluralization of Lead-glazed Earthenwares in Liao Dynas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959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700원
東洋美術史學 (동양미술사학)
동양미술사학회 (Association of Asian Art History)
초록

요나라는 동서의 교통로 중심에 있었던 지리적인 이점으로 서쪽으로는 이슬람 문명과 적 극 교류하며 상호적으로 많은 영향을 주고받았으며, 접경국이었던 송 및 고려와 교류하며 선 진 제자 기술을 활용은 물론 개성있는 그들의 문화를 전하기도 하였다. 주지하다시피, 10-12세기 동아시아의 도자는 뛰어난 제작 기술을 가지고 있던 송과 고 려에 의해 주도되었다. 동양도자사상 최고급의 청자와 백자가 생산되며, 명실상부한 자기의 시대였다. 반면 북방에 자리 잡은 유목 민족국가였던 요나라의 도자는 저품질의 도기로 점철 된다. 비록 초원 유목국가로서 동시기 중원의 송과 접경국 고려와 비교했을 때 뛰어난 제자 기술은 없었지만, 반대로 유목민족의 특성상 자유분방한 기질을 장점 삼아 활발한 대외교류 를 통해 독자적인 도자문화를 이룩하였다. 그중 색색의 연유도기는 제자 기술이 부족했던 요의 입장에서 가장 손쉽게 일정 수준까지 도달할 수 있었던 대상이었다. 요삼채에 보이는 이슬람 요소와 페르시아 삼채와의 관계, 고 려상형청자에 보이는 어룡형의 요소들은 요대 도자가 10-12세기 동아시아 다문화 시대 도 자 문화의 가교 역할을 하고 있었음을 잘 보여준다.

As a result of its geographical advantages, Liao Dynasty actively interacted with Islamic civilization to the west and had a lot of influence on each other, interacted with the Song Dynasty and Goryeo, which were bordering countries, and not only used advanced student technology but also conveyed their unique culture. As is well known, East Asian ceramics in the 10th and 12th centuries were led by Song Dynasty and Goryeo Dynasty, who had excellent disciple skills. The finest celadon and white porcelain in the history of Oriental ceramics were produced, and it was the age of porcelain in name and reality. On the other hand, most of the ceramics of the Liao Dynasty, a nomadic country located in the north, were of low quality. Although it did not have superior ceramic production technology compared to the Song Dynasty and Goryeo Dynasty, it achieved its own ceramic culture through active external exchanges by utilizing the free spirit due to the nature of nomads. Among them, several colors of lead glaze pottery would have been the easiest target to reach a certain level from the perspective of the Liao Dynasty, which lacked ceramic manufacturing technology. The relationship between Islamic elements and Persian Splashed glaze ware in the Liao Tri-colored glazed pottery and the Shape of Fish-dragon elements in the Goryeo Figurative Celadon show that Liao's ceramics served as a bridge to the culture of East Asian multiculturalism in the 10th and 12th centuries.

목차
. 머리말
. 요대 요업의 중원(中原) 교류와 연유도기 생산
. 대외교류를 통해 본 요대 연유도기의 다원화
    1. 이슬람 세계와 요대 연유도기
    2. 요대 연유도기의 고려 전파
.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
  • 김은경(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연구교수) | Kim Eun-kyoung (The Institute for Humanities Research, Duksung Women's University, Research Profess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