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대규모 도시공원의 치유환경 평가항목 개발 1) KCI 등재

Development of Evaluation Items for Healing Environments in large-Scale Urban Park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961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본 연구는 대규모 도시공원의 치유환경을 평가하는 항목을 개발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연구방법은 문 헌조사, 전문가 인터뷰, 전문가 AHP설문조사가 사용되었다. 첫째, 문헌조사를 통해 도시공원에 도입 이 되었거나 도입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는 치유항목을 추출했다. 추출된 항목은 영역별로 유형화하 였고 5개의 평가영역과 28개의 평가항목을 구성했다. 둘째, 추출된 평가항목을 치유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검증했다.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해 평가영역과 항목을 수정, 삭제, 추가했다. 그 결과 5개의 평가 영역과 27개의 평가항목이 개발되었다. 셋째, 개발된 평가항목은 클라우드 기반의 AHP프로그램인 SS RA를 활용하여 웹AHP설문지로 제작되었다. 치유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웹AHP설문을 진행하였고 각 각의 평가영역과 평가항목에 대한 가중치가 도출되었다. 평가영역별 우선순위는 옥외 자연기반 치유 (0.235), 치유환경 적합성(0.228), 치유공원 운영(0.215), 커뮤니티 강화(0.168), 문화·예술치유 지원(0.15 4) 순이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옥외의 다양한 자연 기반 치유시설에서 진행되는 치유프로그 램이 가장 중요했고 그 다음이 치유환경이었다. 이 두 가지 요인은 치유적인 특성을 지닌 도시공원에서 반드시 갖추어야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 외 운영의 안정성, 사회적 연결성 강화, 문화 기반의 치유는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았다. 본 연구는 대규모 도시공원의 치유환경을 평가하는 기초 연구로서 평가 항목이 개발되었고 항목별 가중치도 도출되었다. 평가방법, 배점 등은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개발된 평가항목은 도시민들의 정신건강 치유에 기여하고 도시계획, 복지, 치유 정책 수립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items to evaluate the healing environment of large-scale urban parks. The research methods used included literature reviews, expert interviews, and expert AHP surveys. First, through literature reviews, 5healing evaluation areas and 28healing evaluation items extracted that have been introduced in urban parks or that are thought to be possible for introduction. Second, the extracted evaluation items were verified through interviews with healing experts. Experts modified, deleted, and added areas or items. As a result evaluation items for the healing environment of urban parks was developed, consisting of 5evaluation areas and 27evaluation items. Third, the developed evaluation items were produced as a web AHP questionnaire using SSRA, a cloud based AHPprogram. A web AHP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healing experts, then weights for each evaluation areas and evaluation items were derived. The priorities for each evaluation area were outdoor nature based healing(0.235), suitability of the healing environment(0.228), healing park operation(0.215), community strengthening(0.168), and cultural․artistic healing support(0.154).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healing programs conducted in various outdoor nature-based healing facilities were the most important followed by the healing environment. These two factors are considered to be essential in an urban park with healing characteristics. Other than that operational stability strengthening social connectivity, and cultural based healing were relatively low importance. This study was a basic study to evaluate the healing environment of large-scale urban parks. Evaluation items were developed, and weights for each item were also derived. Follow-up research is needed on evaluation methods and score distribution. The developed evaluation items will contribute to healing the mental health of city residents and can be used in urban planning, welfare, and establishing healing policies.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2.1 문헌조사를 통한 평가항목의 추출
    2.2 전문가 인터뷰를 통한 평가항목의 검증
    2.3 전문가 웹AHP 조사를 통한 가중치의 도출
3. 결과 및 고찰
    3.1 문헌조사를 통해 추출된 치유환경 평가항목
    3.2 전문가 인터뷰를 통한 평가항목의 검증과 개발
    3.3 평가항목의 상대적 중요도 분석
4. 결론
저자
  • 이주홍(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조경·환경계획학과) | Juhong Lee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 Environmental Planning, Graduate School, Kongju National University)
  • 이경진(공주대학교 조경학과) | Kyungjin Lee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Kongju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