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수산 · 양식 생물 연구를 위한 안정동위원소 분석 기법의 소개와 활용 KCI 등재

Application of Stable Isotope Analysis for Aquaculture Organism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009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Journal of Marine Life Science)
(사)한국해양생명과학회 (The Korea Society of Marine Life Science)
초록

안정동위원소 분석 기법(Stable isotope analysis, SIA)은 환경과학, 생태학, 지구생물화학, 법의학, 고고학 등 다양한 연구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본 총설에서는 수산 및 양식 연구에 안정동위원 소 비 분석 기법을 활용하기 위해 필요한 배경 지식을 소개하고자 한다. 특히, 자연 값(natural abundance)을 이용하는 연구에 초점을 두었고 원소가 생물의 조직으로 통합되는 과정에서 발 생하는 분별작용(동위원소 비의 변화)에 대한 원리와 안정동위원소 비가 유용한 도구로서 어 떤 목적으로 생태, 환경학 분야에 이용되는지, 나아가 수산 및 양식 분야에 활용 가능한 예들 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을 통한 안정동위원소 분야의 이해로 향후 수산학 및 양식 연구 에서 안정 동위원소 비의 다양한 활용이 기대된다.

Stable isotope analysis (SIA) is being used in various research fields including environmental science, ecology, biogeochemistry, forensics, and archeology. In this paper,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applications and utilizations stable isotope analysis techniques to aquaculture research, we would like to introduce the background knowledge necessary to utilize stable isotope analysis techniques. In particular, with a focus on the approach using natural abundance, the principle of fractionation (change in isotope ratio) that occurs in the process of the integration of elements into biological tissues and how stable isotope ratios are determined by fractionation. This paper is intended to suggest whether SIA is used as a valuable tool in the fields of ecology and environmental science.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field of stable isotopes through this paper, various applications of stable isotope ratios are expected in fisheries science and aquaculture research in the future.

목차
서 론
안정동위원소 비에 대한 이해:분별작용과 표기(δ, ‰)
수산/해양 생물과 양식 환경에 적용한안정동위원소 비 분석 연구 소개
    1. 먹이질 및 형태 연구
    2. 생리 및 습성 연구
    3. 양식 환경 연구
    4. 수산물의 산지 판별(authentication)연구
향후 연구방향
저자
  • 원은지(한양대학교 해양대기과학연구소, 한양대학교 해양융합과학과) | Eun-Ji Won (Institute of Ocean and Atmospheric Sciences (IOAS), Hanyang University, Ansan 15588, Korea, Department of Marine Science and Convergent Technology, Hanyang University, Ansan 15588, Korea) Corresponding author
  • 윤희영(한양대학교 해양대기과학연구소) | Hee Young Yun (Institute of Ocean and Atmospheric Sciences (IOAS), Hanyang University, Ansan 15588, Korea)
  • 최보형(국립수산과학원 중앙내수면연구소) | Bohyung Choi (Inland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s, Geumsan 32762, Korea)
  • 신경훈(한양대학교 해양대기과학연구소, 한양대학교 해양융합과학과) | Kyung-Hoon Shin (Institute of Ocean and Atmospheric Sciences (IOAS), Hanyang University, Ansan 15588, Korea, Department of Marine Science and Convergent Technology, Hanyang University, Ansan 15588,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