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근활성도(EMG) 측정 전극 레이어 설계에 따른 성능 및 안정성 평가 KCI 등재

Performance and Stability Evaluation of Muscle Activation (EMG) Measurement Electrodes According to Layer Desig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032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본 연구는 EMG(electromyography) 텍스타일 전극 개발을 목적으로 레이어 수의 디자인 및 원단을 다르게 하여 성능 및 신호 획득 안정성을 평가한다. 레이징 및 프레스 공정을 통하여 텍스타일 전극을 제조하며 Layer-0, Layer-1, Layer-2로 레이어 유무 및 수에 따른 결과를 분석했다. 이에 레이어 유무에 따라서는 근활성 측정에 영향을, 수가 많을수록 높은 성능이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Layer-2 구조로 통일하여 5가지의 원단(네오프렌, 스판덱스 쿠션, 폴리에스테르 100%, 나일론 스판덱스, 광목 캔버스)으로 전극을 제조해 실험해 보았다. 성능적인 면에서, 원단의 중 량이 높은 나일론 스판덱스가 높은 성능을 보였으며, 스판쿠션 텍스타일 전극이 근활성도 수득에 높은 안정성을 보 였다. 이에 위 연구는 레이어에 따른 성능 연관성과 전극-피부사이의 닿는 면적 간의 관계 등을 고찰하여 슬리브 전체의 의복압을 늘리는 대신 특정 센서 측정 부위에만 높은 압력을 가함으로 차후 연구에서 레이어의 수 및 물성에 따른 전극의 공학적 설계 가능성을 제시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electromyography (EMG) textile electrodes and assess their performance and signal stability by examining variations in layer count and fabric types. We fabricated the electrodes through layering and pressing techniques, focusing on configurations with different layer counts (Layer-0, Layer-1, and Layer-2). Our findings indicate that layer presence significantly influences muscle activation measurements, with enhanced performance correlated with increased layer numbers. Subsequently, we created electrodes from five distinct fabrics (neoprene, spandex cushion, 100% polyester, nylon spandex, and cotton canvas), each maintaining a Layer-2 structure. In performance tests, nylon spandex fabric, particularly heavier variants, outperformed others, while the spandex cushion electrodes showed superior stability in muscle activation signal acquisition. This research elucidates the connection between electrode performance and factors like layer number and electrode-skin contact area. It suggests a novel approach to electrode design, focusing on layer properties and targeted pressure application on specific sensor areas, rather than uniformly increasing sleeve pressure.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EMG 센서 및 성능 분석
3. 연구 방법 및 절차
    3.1. 전극 재료 및 제작
    3.2. 실험방법
4. 연구 결과 및 고찰
    4.1. Layer 수에 따른 결과 분석
    4.2. Layer 원단에 따른 결과 분석
5. 결론
REFERENCES
저자
  • 구본학(숭실대학교 신소재공학과 석사과정) | Bon-Hak Koo
  • 이동희(숭실대학교 신소재공학과 학사과정) | Dong-Hee Lee
  • 김주용(숭실대학교 신소재공학과 교수) | Joo-Yong Kim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