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A Study on the Influence of Platform Design in Level Design by utilizing Multi-agent Reinforcement Learning KCI 등재

강화학습을 이용한 대전 슈팅 게임의 플랫폼 형태에 따른 레벨 디자인 영향 분석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0350
모든 회원에게 무료로 제공됩니다.
한국컴퓨터게임학회 논문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omputer Game)
한국컴퓨터게임학회 (Korean Society for Computer Game)
초록

다중 에이전트 강화학습의 발전과 함께 게임 분야에서 강화학습을 레벨 디자인에 적용하려는 연구가 계속되 고 있다. 플랫폼의 형태가 레벨 디자인의 중요한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의 연구들은 플레이어의 스킬 수준이나, 스킬 구성 등 플레이어의 매트릭에 초첨을 맞춰 강화학습을 활용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레 벨 디자인에 플랫폼의 형태가 사용될 수 있도록 시각 센서의 가시성과 구조물의 복잡성을 고려하여 플랫폼 이 플레이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다. 이를 위해Unity ML-Agents Toolkit과MA-POCA 알고리즘, Self-play 방식을 기반으로2vs2 대전 슈팅 게임 환경을 개발하였으며 다양한 플랫폼의 형태를 구성하였다. 분석을 통해 플랫폼의 형태에 따른 가시성과 복잡성의 차이가 승률 밸런스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전체 에피소 드 수, 무승부 비율, Elo의 증가폭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했다.

As multi-agent reinforcement learning advance, it has been utilized for level design in game with multiple players and complex interactive environments. Despite the significant impact that the platform's design has on game level design, player-related metrics including behavior, skill level, and skill composition have been the primary focus of most reinforcement learning studies. In this paper, we study the impact of platform design on playing experience by utilizing multi-agent reinforcement learning. we use the Unity Engine to create various platform designs based on a 2vs2 shooting game and visual sensor visibility and structural complexity are taken into consideration for analysis. With Unity ML-Agents Toolkit, we construct a reinforcement learning environment based on the MA-POCA algorithm and the self-play method. Though the agent, we analyze changes in play experience with win rate, the number of episode, draw rate, and the Elo rating value. With the study, we figure out that visibility and complexity of platform design exhibit minimal impact on win rate balance in self-play method, but does influence the total number of episodes, draw rate, and the increase in Elo rating value.

목차
1. 서론
2. 학습 환경 구성
    2.1 Unity 환경 구성
    2.2 학습 에이전트 구성
    2.3 플랫폼 구성 및 가시율 시각화
    2.4 ML-Agents 학습
3. 실험 결과 및 분석
4. 관련 연구
5. 결론
Reference
저자
  • Jun Ho KIM(Department of Game Design and Development, Sangmyung University, Seoul, Korea) | 김준호
  • Hanul Sung(Department of Game Design and Development, Sangmyung University, Seoul, Korea) | 성한울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