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영유아권리존중보육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 건강성의 매개효과 KCI 등재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health in the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childcare teachers on respecting infant righ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210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7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영유아권리존중보육 관계에서 어린이집의 조직건강성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보육교사 3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상관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 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 수준을 하위요인별로 살펴본 결과, 회복력, 낙관성, 희망, 자기효능감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 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은 영유아권리존중보육과 정적 상관이 있었고 조 직건강성과도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긍정 심리자본과 영유아권리존중보육의 관계에 대해 조직건강성은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영유아권리존중보육을 실행하기 위해 서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조직이 건강해야 영 유아권리존중보육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필요성을 제시하는 데 그 의 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health of daycare cente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childcare teachers and respect for infant right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320 childcare teachers, and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for the collected data using the SPSS 21.0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level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childcare teachers was examined by sub-factors, followed by resilience, optimism, hope, and self-efficacy. Second,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childcare teacher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infant rights-respecting childcare and was also positively correlated with organizational health.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rganizational health showe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infant rights-respecting childcar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suggesting the need to improve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childcare teachers in order to implement respect for infant rights and to promote respect for infant rights only when the organization is health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도구
    3. 연구절차
Ⅲ. 연구결과 및 해석
    1.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 조직건강성, 영유아권리존중보육 수준
    2.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 조직건강성, 영유아권리존중보육 간의상관관계
    3.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영유아권리존중보육의 관계에서조직건강성의 매개효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
  • 이지영(가톨릭대학교) | JiYoung Lee (Catholic University)
  • 문혁준(가톨릭대학교) | HyukJun Moon (Catholic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