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유아의 언어 및 문해능력, 교사와 유아의 교사유아 상호작용,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이 유아의 놀이 단절 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Children’s Language and Literacy, Teachers and Children’s Teacher Child Interactio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Effects on Children’s Play Disconnec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210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7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언어 및 문해능력, 교사와 유아의 교사유아상호 작용,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이 유아의 놀이 단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7차 연도 데이터를 사용하였고, 변인들의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행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첫째, 언어 및 문해능력, 교사유아상호작용, 사회적유능감 모두 유아의 놀이 단절 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언어 및 문해능력이 가장 높은 설명 력을 보였다. 둘째, 사회적 유능감 하위 요인 중, 자기통제가 놀이 단절에 가 장 강력한 부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교사유아상호작용의 하위요인 중에서 유아유아상호작용이 놀이단절에 가장 강력한 부적 영향력을 나타냈다. 본 연 구를 통해 유아의 놀이 단절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유아의 언어능력과 사회 성을 증진시켜줌과 동시에 교사가 유아와 양질의 상호작용을 해야 한다는 것 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유아의 놀이 단절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들을 알아보고 놀이 단절을 감소 및 예방하기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한 데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language and literacy capability, teacher child interaction, and social competence on play disconnection. For this, data from the 7th year of the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PSKC) were us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language and literacy capability, teacher child interaction, and social competence were found to negative affect children’s play disconnection, and language and literacy capability showed the highest explanatory power. Second, among the sub-factors of social competence, self-control showed the highest negative explanatory power for play disconnection. Third, among the sub-factors of teacher child interaction, child and child interaction showed the highest negative influence on play disconnection.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in order to reduce children’s play disconnection, teachers must interact with children at the same time as enhancing their language capability and social competenc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variables that affect children’s play disconnection and to provide educational implications to reduce and prevent play disconnection.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문헌 연구
Ⅱ.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1. 연구문제
    2. 용어 정의
    3. 연구참여자
    4. 연구도구
    5. 자료분석
Ⅲ. 연구결과
    1. 언어 및 문해능력, 교사유아상호작용, 사회적유능감과 놀이단절의 상관
    2. 언어 및 문해능력, 교사유아상호작용, 사회적유능감이 놀이단절에 미치는 영향
    3. 교사유아상호작용의 하위요인이 놀이단절에 미치는 영향
    4. 사회적유능감의 하위요인이 놀이단절에 미치는 영향
Ⅳ. 논의
    1. 논의
    2. 결론
<참고문헌>

저자
  • 하민경(경상국립대학교) | Ha Minkyung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