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낙동강 하류 소유역의 지하수와 하천수의 수리지질학적 특성 KCI 등재

Hydrogeological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in Small Watershed of the Nakdong River Basi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211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기후변화에 따라 수자원의 취약성이 증가하고 있고, 그로 인해 지하수 자원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낙동강권역이 자리 잡은 한반도 남부는 매년 봄 가뭄과 같은 물 부족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물 부족의 대안 으로 지하수 자원 이용이 대두되고 있으나, 지하수 자원의 활용에는 수질 안정성이 반드시 요구된다. 이 연구는 2023년 8월과 10월, 2회에 걸쳐 낙동강 하류 광려천 유역을 대상으로 지하수 관정 총 54개소와 하천수 총 5개의 지점에서 시 료를 채취하여 현장 수질 및 실내 수질 분석을 수행하였다. 현장에서 측정한 전기전도도의 값은 지하수와 하천수 모두 연구 지역 수계 하류로 갈수록 농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준다. 이는 하류의 농업 활동이 하천수에 직접적으로 유 입됨을 지시한다. 실내 수질 분석 결과 연구 지역의 수질 유형은 주로 [Ca-HCO3] 유형이 가장 많고, [Ca-SO4] 유형이 그 뒤를 이었다. 8월과 10월 시간에 따른 수질 유형의 변화를 확인하면, Ca 함량이 우세한 지역이 Na 함량이 우세한 지역으로 변화하고, 이러한 지하수 관정은 주로 하류에 위치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국 연구 지역 하류의 하천수·지 하수의 농도 변화는 공장단지, 폐수 처리시설, 농경지의 분포 현황 및 낙동강 하류의 유입과 밀접한 관계가 있고, 이를 통해 인위적인 오염이 발생하였음을 유추할 수 있다.

Recently, the vulnerability of water resources has been increasing owing to climate change,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groundwater. In particular, the Nakdong River Basin, located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 experiences frequent water scarcity phenomena, such as droughts. This study analyzed the hydroge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area by examining groundwater and stream water in the Gwangrye Stream, downstream of the Nakdong River Basin, in August and October 2023. Therefore, we collected samples from 54 groundwater wells and five streams for water quality analysis. The results of the field tests indicated an increasing trend in electrical conductivity from upstream to downstream in the study area. Laboratory analyses confirmed that the concentration of Na increased from upstream to downstream more than that of Ca. In conclusion, both stream water and groundwater were influenced by anthropogenic contamination. These changes were closely related to land use in the study area. The upstream areas are primarily composed of forests, whereas the downstream areas are composed of industrial complexes, wastewater treatment facilities, and agricultural areas, which are likely to affect both stream water and groundwater.

목차
1. 서 언
2. 연구 지역
3. 연구 방법
    3.1. 지하수와 하천수의 시료채취
    3.2. 현장 및 실내 분석
    3.3. Piper Diagram
    3.4. Stiff Diagram
4. 연구 결과 및 고찰
    4.1. 현장 수질 분석과 실내 수질 분석 결과
    4.2. 수질 분석 해석
5. 결 론
사 사
References
저자
  • 김시은(부산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46241,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산대학로 63번길 2) | Sieun Kim (Department of Geological Science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46241, Korea)
  • 정성연(부산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46241,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산대학로 63번길 2) | SeongYeon Jung (Department of Geological Science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46241, Korea)
  • 김문수(국립환경과학원 토양지하수연구과, 22689, 인천 서구 환경로 42) | MoonSu Kim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22689, Korea)
  • 김연태(국립환경과학원 토양지하수연구과, 22689, 인천 서구 환경로 42) | Youn-Tae Kim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22689, Korea)
  • 차용훈(지오그린21, 08376, 서울특별시 구로구 디지털로 33길 55) | Yong-Hoon Cha (Geogreen 21, Seoul 08376, Korea)
  • 이충모(부산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46241,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산대학로 63번길 2) | Chung-Mo Lee (Department of Geological Science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46241,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