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금대(金代) 동경(銅鏡)의 회화적 특징과 제작 여건 KCI 등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Manufacturing Conditions o f Bronze Mirrors f rom the J in Dynas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216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600원
東洋美術史學 (동양미술사학)
동양미술사학회 (Association of Asian Art History)
초록

금(金, 1115~1234)이 적극적으로 시행했던 관영수공업 체제와 정책에 주목해 금대 동 경(銅鏡)의 새로운 경향과 특징을 고찰하였다. 금에서는 요, 송계로 구분할 수 있는 전통적 인 양식뿐 아니라 이를 바탕으로 폭포, 나무, 암석, 누각 등을 이용해 회화적인 화면구도로 재구성한 금계 동경들이 제작되었다. 원근법과 상하 구도를 적용한 화면 구성이 거울의 한정 된 공간 속에 적용되었고, 마치 한 폭의 그림처럼 선경의 세계를 표현하거나 관폭도와 같이 떨어지는 폭포를 바라보는 장면들이 동경에 표현되었다. 이러한 특징은 12세기 초부터 금의 수도가 세워졌던 상경성 내지(지금의 黑龍江省 阿城 부근)의 관영 공방을 중심으로 제작되 었다. 금 초기부터 관영수공업 체제에서 동경의 주원료인 구리의 원활한 수급을 위해 동경을 제작하였고 동원(銅院), 경자국(鏡子局), 주경소(鑄鏡所)와 같은 관서를 별도로 조직해 체 계적으로 동경을 제작 및 관리하는 정책을 시행하였다. 한편 중앙관청 중에도 공예품의 제작 과 장인의 운영을 담당했던 소부감과 관련이 있고, 그중에서도 금속공예품의 도안을 담당했 던 도화서 소속의 장인과도 관련이 있을 것으로 파악되었다. 금 정부는 실력 있는 외부 장인 들을 정책적으로 상경성에 집중시켰다. 여진의 토착문화와 기타 여러 민족의 외래문화가 상 경성 내지를 중심으로 흡수 및 통합되면서 금만의 새로운 동경들이 제작될 수 있었다.

The new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bronze mirrors during the Jin Dynasty were examined by focusing on the Government Office Handicraft and policies implemented by the Jin Dynasty. In addition to traditional styles from the Liao (遼) and Song(宋) Dynasties, bronze mirrors in the Jin Dynasty style were also produced. These mirrors featured pictorial compositions resembling screens, incorporating elements such as waterfalls, trees, rocks, and pavilions. Employing perspective and top-down composition, scenes of landscapes and cascading waterfalls were depicted, creating spectacular views on bronze mirrors. This feature was crafted in a state-operated workshop located within the inner area of Shangjing Castle(上京城), the capital of the Jin Dynasty since the early 12th century. To ensure a steady supply and demand of copper, the primary material for bronze mirrors, production was managed within the Government Office Handicraft from the early days of the Jin Dynasty. Various government offices such as Dongwon(銅院), Gyeongguk(鏡子局), and Jukyeongso(鑄鏡所) were established separately to systematically manage the production process. Furthermore, it was found that among the central government offices, there was a connection to Sobugam(少府監), responsible for overseeing craft production and managing craftsmen. Specifically, craftsmen affiliated with the Dohwaseo(圖畫署), responsible for designing metal crafts, were also linked to these offices. From the beginning, the Jin Dynasty government forcibly centralized talented craftsmen from outside into Shangjing Castle. As the indigenous culture of the Jurchens and the external cultures of other ethnic groups were assimilated around the inner area of Shangjing Castle, new bronze mirrors of distinct styles could be produced during the Jin Dynasty.

목차
Ⅰ. 머리말
Ⅱ. 금대 동경의 제작과 특징
    1. 요(遼)ㆍ송계(宋系) 동경의 계승과 활용
    2. 금계(金系) 새로운 동경과 회화적 표현
Ⅲ. 금대 동경의 제작 여건과 체제
    1. 관영 공방에서 제작된 동경
    2. 장인의 활동과 제작상의 변화
Ⅳ.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
  • 박진경(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연구교수) | Park Jin-Kyung (Research Prof., The Institute for Humanities Research at Duksung Women’s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