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론제도주의로 본 한국 복지국가의 변환* : 김대중 정부의 생산적 복지를 중심으로
2024년은 한국 정치사의 거인 김대중이 탄생한 지 100년이 되는 해다. 그는 수많은 업적을 남겼지만 특히 사회복지 발전에 큰 족적을 남겼다. 그의 집권기 한국 복지국가는 일대 전환을 맞았고 적지 않은 진화 를 이루었다. 한국 복지국가의 ‘변환(transformation)’이라고 평해도 손색이 없을 것이다. 김대중이 대통령 재임시절 구축해 놓은 복지체계가 여전하다는 점에서 우리에게 김대중의 복지정책은 현재이고 현실이다. 하지만 한국사회가 김대중 정부 때와는 다른 다양한 사회적 도전에 직면해 있다는 점에서 그의 복지정책은 이제 극복의 대상이기도 하다. 그래서 이 논문에서는 김대중 정부의 복지정책을 비판적으로 성찰하고자 한 다. 특히 담론제도주의적 관점에서 김대중 정부의 생산적 복지의 정치적 동학과 메커니즘을 분석하고자 한 다. 이 논문이 한국 복지국가의 오늘을 진단하고 내일을 예견하는 데 작은 보탬이 되길 앙망한다.
The year 2024 marks the 100th birth anniversary of Kim Dae-Jung, a towering figure in the political history of South Korea. Of all his numerous achievements, the one that particularly stands out is his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social welfare. During his presidency, the welfare state in South Korea experienced a turning point and achieved a notable progress.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during this period, South Korea witnessed a transformation of its welfare state. The welfare system established by Kim Dae-Jung during his presidency still remains largely intact, making his welfare policies relevant and real even today. However, Korean society now faces various social challenges that differ from those during the Kim Dae-Jung era, which means a critical examination of his welfare policies might be required. This paper aims to critically reflect on the welfare policies of the Kim Dae-Jung government, focusing on the political dynamics and mechanisms of his productive welfare policies from a discursive institutionalist perspective. It is hoped that this paper will contribute to diagnosing the present state of the welfare state in South Korea and envisioning its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