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애니메이션에서 시각적 표현과 서사구조에 따른 의경의 변화 : 장안삼만리를 사례 KCI 등재

Changes in visual representation and narrative structure in animation : the case of 'Chang A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272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700원
한국과 세계 (Korea and World Review)
한국국회학회 (Korea Society of Assembly Studies)
초록

이 연구는 <장안삼만리>에서 이백이 <장진주>를 낭송하는 장면을 통해 애 니메이션에서 시 텍스트가 시각화되는 과정과 분위기 이론과의 관계를 분석하 고, 전통 시의 분위기를 구체적인 시각적 이미지로 변화시키는 시각예술 도구 의 예술적 창작과 표현 기법을 탐구한다. 텍스트 분석을 통해 애니메이션에서 시각적 요소와 서사 구조, 분위기의 변용을 연구한다. 시 원문과 비교하여 애 니메이션과 시 원문 사이의 관계를 분석한다. <장안삼만리>의 시각 요소, 예 를 들어 색상과 구성은 서사의 매력을 강화할 뿐만 아니라 관객이 시구 뒤에 있는 감정과 철학을 더 직관적으로 느끼도록 돕는다. 서사 구조의 설계와 전 개는 정서 변환을 위한 조건을 성공적으로 창조하였으며, 애니메이션은 시구 의 깊은 의미를 표현할 뿐만 아니라 관객에게 깊은 예술적 및 감정적 체험을 제공한다. 이 연구의 결론은 학문적 연구와 실무적 적용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학술적 측면에서는 정서 이론이 현대 시각 예술에서의 응용 가치와 복잡한 예술 현상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의 학제 간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한 다. 실무적 측면에서는 이 연구가 애니메이션 제작 및 문화 전파에 대한 실질 적인 지침을 제공하며, 특히 전통문화 소재 처리 및 깊은 정서 창조에 중점을 둔다. 그러나 이 연구는 시각 요소에 주로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음악, 성우 등 비시각적 요소의 영향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한 일정한 한계가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측면에서 탐구를 고려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다른 이론 및 방법을 결합하거나 다양한 유형의 애니메이션 작품을 분석하고 음악, 성우 등 비시각적 요소의 역할을 고려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visualization of poetic texts in animation and its connection to mood theory, focusing on the scene in <Chang An> where Li Bai recites <Invitation to Wine>. It explores the artistic techniques used to transform the mood of traditional poems into visual images, analyzing the transformation of visual elements, narrative structure, and mood through textual analysis. The study also compares the original texts of the poems. Findings reveal that visual elements in <Chang An>, such as color and composition, not only enhance narrative appeal but also convey emotions and philosophies more intuitively. The narrative structure facilitates mood transformation, enabling the animation to convey deeper meanings and provide a profound artistic and emotional experience. This study underscores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context theory in modern visual art, offering guidance for animation creation and cultural dissemination. However, it acknowledges limitations, particularly the focus on visual elements without fully considering the impact of non-visual factor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애니메이션 <장안삼만리>의 시각적 표현 및 서사 구조에대한 의경의 변화
    1. 장면 설명
    2. 시각적 표현과 의경의 변화
    3. 서사 구조와 의경의 변화
Ⅳ.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양양(세종대학교) | Yang Yang (Sejong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