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치매노인 주돌봄자의 돌봄부담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KCI 등재

The Effect of Care Burden of The Main Caregiver of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on Life Satisfaction :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273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700원
한국과 세계 (Korea and World Review)
한국국회학회 (Korea Society of Assembly Studies)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치매노인 주돌봄자의 돌봄부담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돌봄부담감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사회적 지 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치매노인 주돌봄자 513명 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위하여 SPSS 26.0을 이용하여 기술분석, 신뢰도분석,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 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삶의 만족 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는 삶의 만족도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월수입, 돌봄부담감, 사회적 지지(비공식적 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돌봄부담감과 삶의 만족 도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공식적 지지)의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본 연 구의 결과를 토대로 치매노인의 돌봄 가족을 위해 돌봄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지원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care burden on life satisfaction of primary caregivers of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 burden and life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513 primary caregivers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For the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SPSS 26.0 was used to conduct descriptive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one-way-ANOVA, and adjustment.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main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analyzing factors affecting life satisfaction showed that the factors affecting overall life satisfaction were monthly income, burden of care, and social support.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 burden and life satisfaction was verifi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 support plan was proposed to alleviate the burden of care for the families caring for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삶의 만족도
    2. 돌봄부담감
    3. 사회적 지지
    4. 돌봄부담감, 사회적 지지,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2. 측정 도구
    3. 자료분석방법
Ⅳ. 분석 결과
    1. 사회인구학적 특성
    2. 주요변수의 기술통계
    3. 주요 변수 간 상관관계
    4. 돌봄부담감, 사회적 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5. 돌봄부담감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이미론(숙명여자대학교) | Lee Mi-R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김옥녀(숙명여자대학교) | Kim Ock-Nyu (Sookmyung Women's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