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양육 동기에 따른 자녀 관계 만족도와 주관적 안녕감 KCI 등재

Parenting Motives Moderate the Link between Parents’ Relationship Satisfaction with their Children and Subjective Well-Bei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289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6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자녀는 부모 삶과 적응의 핵심적인 요소다. 그동안 많은 연구를 통해 사회적 관계가 행복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이 밝혀진 바 있지만, 부모-자녀 관계는 상대적으로 큰 관심을 받지 못했다. 이에 본 연구는 기혼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자녀 관계 만족도와 주관적 안녕감에 초점을 맞추고, 이 둘 간의 관련성이 양육 동기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정 영역에서의 성취나 긍정적 경험으로 인한 심리적 혜택이 해당 영역에 부여된 중요성에 좌우된다는 선행 문헌들을 고려했을 때, 자녀와의 만족스러운 관계는 높은 양육 동기를 가진 부모의 주관적 안녕감을 더 강하게 예측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가설을 알아보기 위해 총 2개의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예상대로 자녀와의 관계 만족도와 주관적 안녕감 간 정적 상관은 양육 동기가 높은 개인에게서 더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양육 동기의 조절 효과는 한국인(연구 1)과 미국인(연구 2) 모두에게서 일관되게 관찰되었으며, 문화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부모나 자녀의 성별, 나이 등을 통제하고서도 유효했으며, 특히 주관적 안녕감의 하위 요인 중 부정 정서에서 두드러지는 경향이 있었다.

Children play a crucial role in the lives of parents, but research on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has focused mainly on its impact on parents’ social relationships and happiness. This study explored how parenting motives affect the association between parents’ relationship satisfaction with children and subjective well-being. Previous studies have suggested that the psychological benefits of achievement or positive experiences in specific life domains are dependent on the perceived importance of such domains. Thus, we hypothesized that a satisfying relationship with children can strongly predict the subjective well-being of parents with elevated parenting motives. The study included Korean (Study 1) and American (Study 2) participants. Results of both studies demonstrated a pronounce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arents’ relationship satisfaction with children and subjective well-being in individuals with high levels of parenting motives. This moderating effect persisted even after controlling for relevant covariates (e.g., gender, age, and Big 5 personality traits). Notably, this effect was particularly evident in subfactors of subjective well-being, which is negative affect.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자녀 관계 만족도와 부모의 주관적 안녕감
    2.2. 양육 동기의 중요성
    2.3. 본 연구
3. 연구 1
    3.1. 방법
    3.2. 결과
4. 연구 2
    4.1. 방법
    4.2. 결과
5. 종합 논의
REFERENCES
저자
  • 이화령(전남대학교 인공지능융합연구소 박사후연구원) | Hwaryung Lee
  • 신지은(전남대학교 심리학과 부교수) | Ji-eun Shin
  • 서은국(연세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 Eunkook M. Suh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