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IB PYP 관계자 면담을 통한 학교 교육 개선 방안 탐색 KCI 등재

Exploring ways to improve school education through interviews with IB PYP official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298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600원
미래교육연구 (The Journal of Future Education)
한국미래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of Future Edcation)
초록

인공지능으로 대표되는 급격한 사회 변화는 학교 교육의 개선을 요구하고 있고, 일부 지역에서는 국제 교육과정인 IB를 공교육에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는 미래형 교육을 준비하기 위하여 IB PYP에 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IB PYP에 관한 문헌 연구와 관계자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문헌 연구를 통해 총론적, 각론적 수준에서 2022 개정 교육과정과의 비교·분석하였고, 심층 면담을 통해 개념기반 탐구학습, 공유와 협력의 문화 등의 특징을 추출하였다. 연구를 통해 학교 교육 개선 방안으로 교사 수준 교육과정, 개념기반 탐구학습의 확산, 학년별 특성에 맞는 중점 교수·학습 방법을 적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Rapid social changes represent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are calling for improvements in school education, and in some regions, the international curriculum, IB, is being introduced and operated in public education. This study sought to obtain implications from the IB PYP in order to prepare for future education. To this end, a literature study on the IB PYP and in-depth interviews with stakeholders were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t a general and detailed level, and extracted characteristics such as concept-based inquiry learning and a culture of sharing and cooperation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rough the study, it was proposed to apply a teacher-level curriculum, expansion of concept-based inquiry learning, and focus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sui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ade as a way to improve school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IB PYP의 특징
    2. IB PYP와 2022 개정 교육과정의 비교
Ⅲ. 연구의 방법
    1. 면담 참여자
    2. 분석 방법
Ⅳ. 연구의 결과
    1. IB 수업은 개념기반 탐구학습
    2. 공유와 협력의 문화
Ⅴ. 결론: 학교 교육 개선 방안
    1. 교사 교육과정
    2. 개념기반 탐구학습
    3. 학년별 특성에 맞는 중점 교수􌺃학습 방법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김미진(경산동부초등학교) | Kim Mi-J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