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디지털 점자 보조기기를 이용한 점자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 KCI 등재

Effects of a Braille Training Program Using Digital Braille Devic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318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ssistive Technology)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ssistive Technology)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디지털 점자 보조기기를 이용한 점자 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점자 촉지 수준 의 변화와 점자 관련 일상 활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단일집단 사전-사후 비교 설계를 사용하였다. 서울과 강원 지역의 시각장애 관련 기관 2곳에서 모집 한 시각장애인 8명에게 8주간 점자 훈련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점자 훈련 프로그램은 스마트폰에서 구동되는 점자 학습 앱과 블루투스로 연결된 디지털 점자 보조기기를 사용하였다. 점자 훈련은 주 1회 1시간 시행되었고 추가로 훈련일 제외 주 4일 반복 연습을 자율적으로 시행하도록 독려하였다. 점자 촉지 수준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 조작적 정의를 통해 계산한 촉지율과 점자 관련 일상 활동에서의 어려움 정도를 알아보기 위한 K-IPPA검사를 훈련 전, 후로 측정하여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 대상자들은 훈련 프로그램 이후 촉지율이 평균 43%에서 98%로 향상되었고 K-IPPA검사로 측정한 점자 관련 일 상 활동의 어려움이 평균 18점에서 15점으로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디지털 점자 보조기기를 이용한 점자 훈련 프로그램은 자립적으로 점자 촉지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으며, 추 후 국내 점자 교육과 관련한 제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적절한 대안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This study applied a Braille training program using a digital Braille device to visually impaired people to investigate changes in the level of Braille tactile recognition and on Braille-related activities. Methods : This study used a single group pre-post test comparison design. A 8 weeks braille training program was provided to 8 visually impaired people recruited from two visually impaired institutes in each Seoul and Gangwon. The Braille training program used a Braille learning app running on a smart phone and a digital Braille device connected via bluetooth. Braille training was conducted once a week for 1 hour, and participants were encouraged to practice repeatedly at least 4 times during the same week. In order to determine changes in the level of Braille recognition, the Braille tactile recognition rate calculated through operational definitions in this study and the degree of difficulty in Braille-related activitie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Results : After the training program, the Braille tactile recognition rate improved from an average of 43% to 98%, and the level of difficulty decreased from an average of 18 points to 15 points in the K-IPPA test, which measure difficulty in Braille-related activities. Conclusions : The Braille training program using digital Braille device, which can be a new alternative to learning Braille, was effective in training Braille independently. And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an appropriate alternative to solving problems related to domestic Braille education.

목차
I. 서 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기간 및 대상자
    2. 연구 과정
    3. 훈련 프로그램
    4. 평가 도구
    5. 분석 방법
Ⅲ. 연구 결과
    1. 연구대상자 일반적 정보
    2. 촉지율 변화
    3. K-IPPA 변화
Ⅳ. 고 찰
Ⅴ. 결 론
Acknowledgments
References
Abstract
저자
  • 신수정(중원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조교수) | Shin Su-Jung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Jungwon University, Assistant Professor)
  • 김미정(중원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조교수) | Kim Mi-Jung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Jungwon University, Assistant Professor)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