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대학 캠퍼스 내 정원 인식에 대한 요인 구조화 및 이용 만족도와의 관계 분석 KCI 등재

Analysis of Relationship with Structuring Factors for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of Use of University Campus Garde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318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본 연구는 정원에 대한 인식의 유형을 파악하고, 이용 만족도와의 관계를 분석하여 정원 이용 만족도 제고를 위한 정원 조성 방안을 제언하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G 대학교 캠퍼스 정원을 이용하고 있는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 정원 인식, 정원 이용 만족도 등에 대하여 설문하였다. 이용자들은 정원의 면적, 식물 및 햇빛의 양, 식물 배치 등에 있어 높은 만족감을 가지고 있었으나, 프라이버시 측면에서는 만족감이 낮았다. 인식의 유형은 ‘정원 구성 요소’, ‘정원 이용’, ‘사적 공간’ 세 가지 요인으로 확인되었고, 각 요인들은 세부적인 만족도 중 ‘흥미도와 독창성’, ‘시각적인 아름다움’과 정적 상관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정원 이용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정원에 대한 인식은 식물의 배치와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원 이용 만족도 제고를 위해 정원 내 흥미롭고 독창적인 요소를 추가하고, 시각적 아름다움을 자극할 수 있는 식물들을 도입하기를 제언해본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type of recognition with the garden, analyze the relationship with use satisfaction, and propose garden creation measures to increase garden use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users using the G University campus garden were surveyed about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recognition of the garden, and satisfaction with using the garden. Users were highly satisfied with the area of the garden, the amount of plants and sunlight, and plant arrangement, but were low in terms of privacy. The type of perception was identified as three factors: 'garden elements', 'garden use', and 'private space', and each factor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interest and originality' and 'visual beauty' among the detailed satisfaction levels. In addition, the recognition of the garden that had the greatest impact on satisfaction with garden use was found to be related to the arrangement of plants. Therefore,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using the garden, we suggest adding interesting and original elements to the garden and introducing plants that can stimulate visual beauty.

목차
서론
재료 및 방법
    1. 연구대상 및 조사방법
    2. 설문지 구성
    3. 분석 방법
결과 및 고찰
    1. 이용자 인구통계학적 특성
    2. 이용자들의 정원 인식과 만족도
    3. 이용자들의 정원 인식 요인 분류
    4. 정원 인식 요인과 정원 이용 만족도 간의 상관관계분석
    5. 정원 이용 인식 세부항목과 전체적인 정원 이용 만족도간의 상관관계 및 영향 분석
References
저자
  • 김용현(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연구원) | Yong Hyun Kim (Research Engineer,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52828, Korea)
  • 허무룡(경상국립대학교 원예과학과 교수, 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 | Moo Ryong Huh (Professor, Division of Horticultural Science /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52828,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