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Surveillance of Wild rodents and chigger mites in southern part of Gyeongsangbuk-do, Korea in 2022 and 2023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3455
모든 회원에게 무료로 제공됩니다.
한국응용곤충학회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초록

쯔쯔가무시증은 급성 발열성 질환으로 Orientia tsutsugamushi을 보유한 털진드기 유충이 숙주를 흡혈할 때 전파된다고 알려져 있다. 국내에서는 한국전쟁 중에 첫 감염사례가 확인되었고 이후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다. 털진드기 유충이 성장하기 위해선 반드시 동물의 체액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야생 설치류 등에 기생 하는데 봄철과 가을철에 주로 발생한다. 이처럼 인간에게 피해를 주는 털진드기의 분포와 병원체 유무를 조사하 기 위해, 2022년부터 2023년까지 경상북도 김천시에서 3월, 4월과 10월, 11월 5가지 환경(논, 밭, 수로, 야산, 저수 지)에서 Sherman trap을 이용하여 설치류 채집을 진행하였다. 2022년에는 총 18마리의 설치류가 채집되었고, Apodemus agrarius가 14마리(77.8%)로 가장 많이 채집되었다. 2023년에는 총 25마리의 설치류가 채집되었고, Apodemus agrarius가 19마리(76.0%)로 역시 가장 많이 채집되었다. 채집된 설치류 의 개체수는 2022년 대비 2023 년에 약 39% 증가하였다. 설치류에서 채집된 털진드기의 개체수를 조사한 결과, 2022년에는 총 1,862마리, 2023 년에는 3,243마리가 채집되어 전년 대비 약 74% 증가하였다. Chigger index 값을 살펴보았을 때 2022년에는 Apodemus agrarius에서 122.2, 2023년에는 Apodemus agrarius에서 169.7로 가장 높았다. 설치류에서 채집된 털진 드기의 반수에 대한 병원체 보유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최대 30마리씩 pooling하여 실험한 결과, 모두 음성으로 확인된 2022년과 달리 2023년 10월 3개, 11월 1개의 pool에서 쯔쯔가무시 양성이 확인되었다. 확인된 양성 샘플은 모두 저수지에서 채집된 개체로 해당 지역에 대한 지속적인 감시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
  • Jun Hyuk Chang(School of Life Sciences, BK21 FOUR KNU Creative BioResearch Group,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School of Life Sciences, College of Natural Science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Research Institude for Dok-do and Ulleng-do Island,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 Jiseung Jeon(School of Life Sciences, BK21 FOUR KNU Creative BioResearch Group,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School of Life Sciences, College of Natural Science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Research Institude for Dok-do and Ulleng-do Island,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 Jihun Ryu(School of Life Sciences, BK21 FOUR KNU Creative BioResearch Group,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School of Life Sciences, College of Natural Science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Research Institude for Dok-do and Ulleng-do Island,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 Seung Pak An(School of Life Sciences, BK21 FOUR KNU Creative BioResearch Group,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School of Life Sciences, College of Natural Science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Research Institude for Dok-do and Ulleng-do Island,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 Ye Jin Kim(School of Life Sciences, BK21 FOUR KNU Creative BioResearch Group,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School of Life Sciences, College of Natural Science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Research Institude for Dok-do and Ulleng-do Island,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 Ilyeong Jeong(School of Life Sciences, College of Natural Science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 Seon Min Kim(School of Life Sciences, College of Natural Science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 Dong Yeol Lee(School of Life Sciences, College of Natural Science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 Kwang Shik Choi(School of Life Sciences, BK21 FOUR KNU Creative BioResearch Group,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School of Life Sciences, College of Natural Science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Research Institude for Dok-do and Ulleng-do Island,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Research Institude for Phylogenomics and Evolu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