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무도상 철도판형교의 하부 수평 브레이싱의 보강 형상 및 설치 위치에 따른 최적의 보강 모델 선정 KCI 등재

Optimal Reinforcement Model based on the Shape and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Lower Horizontal Bracing of a Ballastless Railway Plate Girder Bridg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358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복합신소재구조학회 논문집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dvanced Composite Structures)
한국복합신소재구조학회 (Korean Society for Advanced Composite Structures)
초록

본 논문에서는 무도상 철도판형교에 열차하중이 재하되었을 때 변위를 최소화시키는 하부 수평브레이싱의 보강 형상 및 설치 위치를 검토하였다. 우선 거더와 수평 브레이싱으로 연결된 2거더 구조계의 전체 횡좌굴모멘트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검토하였다. 다음 으로는 무도상 철도판형교의 하부를 설치 위치를 달리하여 수평브레이싱으로 보강하였다. 보강된 무도상 철도판형교에 열차하중 및 거 더의 중심과 열차하중의 재하위치간의 편심거리(e)에 따라 발생하는 축방향의 비틀림모멘트를 고려하여 구조해석을 수행하였다. 보강모 델별로 지간 중앙에서의 단면의 중심에서 발생하는 변위를 검토하여 변위를 최소화시키는 모델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무도상 철도판형교에 열차하중 재하시 변위를 최소화시키는 하부 수평브레이싱의 보강 형상 및 설치 위치를 제안하였다.

In this study, the reinforcement shape and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lower horizontal bracing that minimizes displacement when a train load is applied to a ballastless railway plate girder bridge were investigated. First, factors affecting the lateral buckling moment of a two-girder structural system connected by horizontal bracing were examined. Next, the lower part of the ballastless railway plate girder bridge was reinforced with horizontal bracing installed at different positions. Structural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reinforced ballastless railway plate girder bridge considering the train load and axial torsional moment generated based on the eccentric distance (e) between the center of the girder and the loading location of the train load. For each reinforcement model, the displacement at the center of the cross-section at the center of the span was reviewed to select a model that can minimize the displacement. Through this study, the reinforcement shape and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lower horizontal bracing that minimizes displacement under train load on a ballastless railway plate girder bridge were proposed.

목차
1. 서 론
2. 무도상 철도판형교의 거동특성
    2.1 수평브레이싱이 설치된 무도상 철도판형교의거동특성
    2.2 2거더 판형교의 횡좌굴모멘트
    2.3 거더와 하부 수평브레이싱의 접합위치에 유사폐합단면의 변화
3. 무도상 철도판형교의 하중 및 해석모델 산정
    3.1 변위 산정 절차
    3.2 해석모델 산정
    3.3 재하하중 산정
4. 무도상 철도판형교 모델링
    4.1 모델 형상
    4.2 경계 조건
5. 무도상 철도판형교의 하부 수평브레이싱 보강형상 및 설치 위치에 따른 변위 산정
    5.1 변형 형상 비교
    5.2 변위비교
6. 결 론
ACKNOWLEDGMENT
REFERENCES
저자
  • 김태원(인하대학교 토목공학과 박사수료) | Kim Tae Won (Ph.D. Candidate,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Inha University, Incheon, Korea)
  • 박연철(인하대학교 사회인프라공학과 조교수) | Park Yeun Chul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Inha University, Incheon,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