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육군 병사의 그룹코칭 경험에 대한 주관성 연구 KCI 등재

Subjectivity of an Army Soldier’s Group Coaching Experienc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373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800원
코칭연구 (Journal of Korean Coaching Research)
한국코칭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of Coaching)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육군 병사가 인식하는 그룹코칭 경험에 관한 유형을 Q 방 법론을 활용하여 분류하고 특성이 어떠한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 및 심층 면담을 통해 200개의 Q 모집단을 구성하였고, 이후 40개 문항의 Q 표본을 추출하였다. 육군 병사 19명(남 19명)을 P 표본으로 선정하여, Q분류 과정을 통해 Quanl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주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총 4가지 유형으로 도출되었으며, 유형 1은 ‘자기이해를 중시하는 자아성찰 추 구형’, 유형 2는 ‘상호이해와 관계를 중시하는 관계지향형’, 유형 3은 ‘성취감을 추구하는 성장지향형’, 유형 4는 ‘전략적 계획을 추구하는 미래지향형’으로 나타 났다. 본 연구를 통해 군에서의 그룹코칭이 육군 병사들간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 고 육군 병사들의 군 생활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데 좋은 방법으 로 적극 수용될 수 있었으면 한다. 군 그룹코칭의 도입과 군조직내 코칭 문화가 확산되도록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and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ypes of group coaching experiences perceived by army soldiers using Q methodology. For this, a Q population of 200 was formed through prior research and in-depth interviews, and subsequently, a Q sample of 40 items was extracted. Nineteen male army soldiers were selected as the P sample, and the Quanl program was used through the Q classification process, and 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as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research, a total of four types were derived. Type 1 is a ‘Self-reflection pursuit type that values self-understanding’. Type 2 is a ‘Relationship-oriented type that values mutual understanding and relationships’. Type 3 is a ‘Growth-oriented type that pursues a sense of achievement’. Type 4 is a ‘Future-oriented type that pursues strategic planning’. Through this study, it is hoped that group coaching in the military can be actively accepted as an effective method to facilitate communication among army soldiers and to positively change army soldiers’ perceptions of military life. Follow-up research is needed to introduce military group coaching and to spread the coaching culture within the military organiz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Q 방법론
    2. Q 모집단 구성(Q-concourse)
    3. Q 표본
    4. P 표본
    5. Q 분류 및 자료 분석
Ⅲ. 연구결과
    1. 결과분석
    2. 인식유형 특성
    3. 일치항목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이정윤(동국대학교 대학원 상담코칭학과 박사과정) | Lee Jung yoon (Doctoral Student, Department of Counseling Coaching, Dongguk University.)
  • 김유천(동국대학교 대학원 상담코칭학과 조교수) | Kim Yu Cheon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Counseling Coaching, Dongguk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