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노인요양시설 원장의 코칭 역량과 사회적지지가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KCI 등재

The Effect of Coaching Competency and Social Support From the Director of Silver Care Center on the Job Satisfaction of Caregivers: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373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400원
코칭연구 (Journal of Korean Coaching Research)
한국코칭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of Coaching)
초록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가 지각한 노인요양시설 원장의 코칭 역량과 사회적지 지가 자기효능감을 통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 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 충청, 강원을 비롯한 전국에 소재하는 노인요양시설 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424부의 설문지를 수집하였으며. 이를 바 탕으로 SPSS와 AMOS 28.0을 사용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측정모형의 타 당성 검증을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 음과 같다. 코칭 역량의 일곱 가지 하위요인과 사회적지지의 다섯 가지 하위요인, 단일요 인인 직무만족의 하위요인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자기효능감의 세 가지 하위요인은 직무만족의 하위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을 높이고 조직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위 해서는 원장의 코칭 역량과 사회적지지를 요양보호사가 받아들이고 분별하여 판 단할 수 있도록 원장과의 수평적인 입장에서의 인간적, 업무적 관계 형성 등을 통해 개인의 가치를 인정받는 직접적인 방법들의 실천이 필요하다. 또한, 노인 돌봄 서비스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분위기 및 환경을 조성하여 요양보호사가 직무에 만족할 수 있는 방안 및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coaching competencies and social support of elderly care facility directors perceived by care workers affect job satisfaction through self-efficac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24 caregivers working in elderly care facilities located in Gyeonggi, Chungcheong, Gangwon, and other provinces in South Korea. Based on thi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2.0 and AMOS 28.0. The result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measurement model are as follows. The seven subfactors of coaching competence and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single subfactor of job satisfaction. The three subfactors of self-efficacy—self-regulation, were found to influence the subfactors of job satisfaction. In other words, to increase the job satisfaction of nursing home caregivers and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organization, it is necessary to practice direct methods that recognize the value of individuals through the formation of a human and business relationship with the director so that the nursing care worker can accept, discern, and judge the coaching competence and social support of the director. In addition, the study suggests that measures and standards should be established to ensure that caregivers are satisfied with their jobs by creating an atmosphere and environment to improve the quality of elderly care services.

목차
Ⅰ.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
    2. 원장의 코칭 역량
    3. 원장의 사회적지지
    4. 요양보호사의 자기효능감
Ⅲ.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자료분석
Ⅳ. 연구 결과
    1. 측정변인의 기술통계량
    2. 원장의 코칭 역량과 사회적지지, 요양보호사의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 간의 구조적 관계
    3. 측정모형의 검증
    4. 원장의 코칭 역량과 사회적지지가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Ⅴ.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홍문선(사랑요양원 원장) | Hong Moon Sun (Director, Silver Care Center)
  • 도미향(남서울대학교 아동복지학과, 대학원 코칭학과 교수) | Do Mi Hyang (Professor, Department of Coaching, Namseou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