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유아기 자녀 어머니의 양육어려움: 에니어그램 머리형 중심으로 KCI 등재

Parenting Difficulties of Preschoolers' Mothers: The Enneagram Head Typ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373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900원
코칭연구 (Journal of Korean Coaching Research)
한국코칭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of Coaching)
초록

본 연구는 에니어그램의 머리중심 유형 유아기 자녀 어머니는 어떠한 양육어 려움을 경험하는지를 파악하여 실체이론을 마련하고 부모교육의 기초자료를 제 공하고자 함에 있다. 이에 연구 문제는 ‘머리형 유아기 자녀 어머니는 어떠한 양 육어려움을 경험하는가?’이다. 본 연구를 위해 에니어그램의 머리형 유아기 자녀 어머니 5명을 대상으로 1인당 1시간 30분 ∼ 2시간, 3회 이상 심층면담을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근거이론 연구방법으로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 코딩 단계로 분석하였으며 도출된 11개의 범주로 패러다임 모형 구성과 과정분 석, 핵심범주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패러다임 모형에서는 ‘반복적 양육 상황에 함몰’이라는 중심현상이 나타났다. 양육어려움에 관한 과정 분석은 중심현상 발현 후 협상 단계 시너지 단계 해결모델 구성 단계의 3단계를 거쳐 미래를 위한 자녀 결정지지 및 양육의 중심은 엄마라는 신념이란 결과를 도출했다. 마지막으로 핵심범주는 ‘이성에 의지하며 대안적 방법을 구성 하고 양육의 노예가 아닌 양육의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에 니어그램의 머리형 중심유형 어머니의 양육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실천적 양육 방식 모색 및 부모교육에 활용할 기초자료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what kind of parenting difficulties mothers of early childhood children of the Enneagram's head type experience and to develop a substantive theory to provide basic data for parent education. Accordingly, the research question is, ‘What kind of parenting difficulties do mothers of children with head type infants experience?’ For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t least three in-depth interviews with five mothers of children with the Enneagram head type in infancy, lasting 1 hour and 30 minutes to 2 hours per person.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grounded theory research method in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and the construction of a paradigm model, process analysis, and core categories were conducted using the 11 categories derived.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paradigm model, the central phenomenon of ‘falling into repetitive parenting situations’ emerged. The process analysis of child-rearing difficulties went through three stages: negotiation stage after the emergence of the central phenomenon, synergy stage, and solution model construction stage, and resulted in the belief that the mother is the center of child decision support and parenting for the future. Lastly, the core category was composed of ‘relying on reason, constructing alternative methods, and being the center of parenting rather than being a slave to parent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provided basic data to be used in parent education and search for practical parenting methods to resolve the parenting difficulties of Enneagram head-centered moth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참여자 선정
    2. 자료수집
    3. 자료 분석 방법
    4. 연구의 엄격성
Ⅲ. 연구 결과
    1. 개방코딩
    2. 축코딩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조혜진(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아동복지학과 박사) | Cho Hea Jin (Ph.D. Department of Child Welfare, Sookmyung Women’s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이소희(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아동복지학과 명예교수) | Lee So Hee (Emeritus Professor, Department of Child Welfare, Sookmyung Women’s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