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An Eco-Evangelism of the Korean Christianity in an Eco-Crisis Era: Inductive Mission Model Approach KCI 등재

생태위기 시대 한국기독교의 생태-전도: 귀납적-사명 모델 중심으로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380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900원
선교신학 (Theology of Mission)
한국선교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ission Studies)
초록

이 논문은 현대 환경 위기 시대에 한국기독교의 상황에서 생태-전도 개념을 탐구한다. 복음전파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심각해지는 생태위기의 상황에서 복음전파에 대한 이해를 살핀다. 이 연구는 특히 세속화된 사회 환경에서 개인의 경험과 실질적인 문제 해결의 중요성을 강조되는 현대사회 의 특성을 고려하며, 한국교회 전도가 연역적 방식에서 귀납적 방식으로 전환하고 있음을 다룬다. 생태-전도는 생태 신학과 귀납적-사명 모델의 학제간 대화를 통한 융복합 접근 방식으로 이해되며, 이 접근법의 공통 가치에는 상호 의존성, 지속 가능성, 사회 정의, 그리고 적극적인 커뮤니티 참여가 포함된다. 한국기독교에서의 세 가지 사례연구를 통해, 이 연구는 생태-전도가 실제로 어떻게 실행되는지를 보여주며, 환경 복원 노력에 비신자들을 참여시키고 의미 있는 방식으로 복음을 경험하게 함으로써 생명 중심의 복음전파를 촉진하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생태-전도는 기독 교인들이 그들의 행동을 통해 복음의 가르침을 구현하고, 생태위기에 대응 하는 것이 그들의 더 넓은 세계적 사명의 중요한 부분임을 인식하도록 촉구한다.

This paper examines Eco-Evangelism in Korean Christianity, addressing contemporary environmental challenges. It emphasizes shifting from deductive to inductive evangelism, focusing on personal experiences and practical solutions. Eco-Evangelism combines eco-theology with the Inductive Mission Model, promoting values like interdependence, sustainability, and social justice. Through three case studies, it demonstrates how Eco-Evangelism engages non-believers in environmental restoration efforts, inviting them to experience the Gospel firsthand. Ultimately, Eco-Evangelism calls on Christians to embody Gospel teachings through environmental action as part of their broader mission.

목차
I. Introduction
II. Ecological Theology
III. Inductive Evangelism
IV. Eco-Evangelism
V. Eco-Evangelism by Korean Christianity
    1. The Grace Grove Project in Mongolia
    2. Pro-Life Movement (Presbyterian Church of Korea)for 30 Years
    3. Yuhan Kimberly’s “Keep Korea Green”
VI. Conclusion
한글초록
Bibliography
저자
  • Nam Sung-Hyuk(Pf. PUTS, Missiology) | 남성혁 (장로회신학대학교 교수, 선교학)
같은 권호 다른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