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의 현지화 수단인 자발적 지역 검토(VLR) 연구 현황과 과제* : 자발적 지역 검토(VLR)의 한국적 적용과 확산을 위한 연구 과제 제언 KCI 등재

The Current Status and Challenges of Voluntary Regional Review (VLR) Research on the Localization of SDGs : Proposing Research Projects for the Application and Spread of VLRs in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382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000원
융합인문학 (Korean Journal of Converging Humanities)
한국인문사회질학회 (Korean Association on Humanities & Social Quality)
초록

유엔과 유엔 산하 기관은 ‘지속가능발전목표 현지화(SDGs Localization)’라는 용어를 매개로 초국가적 지 속가능발전목표(SDGs) 이행에 관한 논의를 선도해 왔다.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현지화는 지역 차원의 결과로 효과적으로 전환하기 위한 구체적인 메커니즘, 도구, 혁신, 플랫폼 및 프로세스가 포함된다. 새로운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연구의 흐름은 도시와 지방정부의 자발적 지역 검토(VLR)와 많은 부분 접점을 형성한다. 도시와 지방정부는 특히 지속가능발전을 촉진하는 해법을 구현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 지속가능 발전 노력에서 점점 더 많은 지방 및 지역 정부가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의 현지화, 계획, 집행과 후속 검토 단계를 구축하기 위해 자발적 지역 검토(VLR)를 귀중한 정책 도구로 사용하고 있다. 자발적 지역 검토(VLR) 연구는 한국 도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성취도, 혁신 과제, 나아가 한국 지속가능발전목표 (SDGs)의 특수성과 보편성을 해명하는 데 필수적일 뿐만 아니라, 다른 부문의 사례를 통해 간접경험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하고 중요한 연구 영역이다. 본 연구는 자발적 지역 검토(VLR)의 한국적 수용과 확산을 목적으로 최근 전 세계 자발적 지역 검토(VLR) 연구의 핵심 주제, 한국에서 중점적으로 다루어야 할 연구 주제, 그리고 자발적 지역 검토(VLR) 정착과 확산을 위한 과제를 제언한다.

The United Nations and UN-affiliated organizations have led the discussion on the implementation of transnational SDGs using the term ‘SDG localization’. SDG localization involves specific mechanisms, tools, innovations, platforms and processes to effectively yield regional outcomes. In particular, governments both in cities and rural areas are taking the lead in implementing solutions that promote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ir effort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more and more local governments are using VLRs as valuable policy tools to establish stages for localization, planning, enforcement, and follow-up and reviews of SDGs. VLR is a useful and important research area in that it is essential in explaining achievements of SDGs in Korean cities, innovation tasks, and even the specificity and universality of SDGs in Korea, and it can serve as an indirect experience through cases in other sectors. For the purpose of accepting and spreading VLRs in Korea, this study proposes the core topics of recent research on VLRs around the world, along with some research topics that Korea should focus on, and tasks for VLR settlement and diffusion.

목차
Ⅰ. 들어가며
    1. 연구 배경
    2. 연구의 목적과 방향
Ⅱ. 자발적 지역 검토(VLR) 연구의 핵심 주제와 한국적 자발적 지역 검토(VLR)정착을 위한 연구 주제
    1. 최근 자발적 지역 검토(VLR) 연구의 핵심 주제
    2. 한국 도시의 VLR 정착과 확산을 위한 연구 과제
Ⅲ. 결론: 종합과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이창언(신경주대학교 교수) | Lee Chang-eon (Professor of ShinGyungju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