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씨고자리꽃파리 연간 발생양상의 이해: 하면과 고온회피 가설 KCI 등재

Understanding the Annual Occurrence Pattern of Delia platura (Diptera: Anthomyiidae): Aestivation and High-temperature Avoiding Hypothesi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437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응용곤충학회지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한국응용곤충학회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초록

씨고자리꽃파리(Delia platura)는 온대지역의 해충으로 콩과, 백합과, 십자화과 작물뿐만 아니라 옥수수, 감자, 당근 등 기주범위가 매우 넓 은 해충으로 알려져 있다. 씨고자리꽃파리는 여름철 이후 발생이 급격히 감소하거나 사라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씨고자리꽃 파리의 특이한 연간 발생양상을 이해하기 위하여 몇 가지 온도와 광조건에서 발육실험과 야외에서 성충발생양상을 조사하였다. 광조건(16L:8D, 12L:12D)과 관계없이 처리온도 21, 24, 27°C에서 하면증상 없이 성충까지 성공적으로 발육하였다(번데기 생존률 : 93.5~100.0%). 고온(광조 건 16L:8D)인 30 및 33°C에서도 하면이 유도된 발육단계는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씨고자리꽃파리의 여름철 후 감소현상은 하면가설로 설명 이 어려웠다. 2021년과 2022년 포장조사(제주)에서 7월 중순부터는 성충이 점착트랩에 거의 유살되지 않는 양상을 보였다. 고도별 트랩을 설치 한 2023년 조사에서 높은 고도인 620미터 트랩에서는 전체적으로 발생량이 적었고 연간 특별한 양상을 보이지 않았다. 저고도 70미터와 중간고 도 300미터는 2개의 발생최성기(peak)가 관측되었으며, 보다 서늘한 지점의 300미터 트랩의 발생최성기는 70미터 트랩과 비교하여 약 40일 정 도 지연되어 나타났다. 특히 300미터 트랩에서는 여름철 이후 9월 중순까지도 트랩에 유살되는 성충이 관찰되었다. 아직은 완벽하지 않지만 고온 회피설이 씨고자리꽃파리의 후기 발생을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 더 정확한 해석을 위해서는 앞으로 고온 산란임계온도와 더불어 생식적 휴면(하면)의 여부, 고온회피행동의 구체적 양상 등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Seedcorn maggot (SDM), Delia platura (Meigen), is a pest in temperate regions and is known to have a very wide host range, including corn, potatoes, and carrots as well as legumes, liliaceae, and cruciferous crops. SDM has a characteristic population abundance in the field, showing decreasing or disappearing after the summer seas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unique annual abundance patterns of SDM. We evaluated the development of SDM under some temperature and photoperiod conditions and surveyed the adult occurrence patterns in the field. Regardless of photoperiod (16L:8D and 12L:12D), SDMs were successfully developed til adults without any aestivation symptoms at 21, 24, and 27°C (pupae survival rate: 93.5-100.0%). Even at a high temperature of 30 and 33°C (16L:8D), aestivation-induced development stages were not observed. Therefore, it was difficult to explain the decline of SDM after summer using the aestivation hypothesis. Field surveys in 2021 and 2022 (Jeju) showed that SDM adults were not caught almost on sticky traps from mid-July. In the 2023 survey at different altitudes, the overall occurrence was low in 620 m traps and did not show any specific annual patterns. Two peaks of SDM were observed at the low altitude of 70 m and the middle altitude of 300 m, and the peaks of 300 m traps in the cooler location appeared delayed by about 40 days compared to those of 70 m. In particular, SDM adults were observed until mid-September after the summer in the 300 m traps. Tentatively, the high-temperature avoiding hypothesis was able to partially explain the later season abundance of SDM. For a more concrete conclusion, it was judged that further studies would be needed on a critical temperature for oviposition, the presence of reproductive diapause (aestivation), and high-temperature avoiding behavior.

목차
재료 및 방법
    실험곤충 실내사육
    온도와 광이 발육에 미치는 영향 실험
    야외 성충발생양상 조사
결 과
고 찰
Acknowledgements
Supplementary Information
저자 직책 & 역할
Literature Cited
저자
  • 김동순(제주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식물자원환경전공) | Dong-Soon Kim (Majors in Plant Resource Sciences & Environment, College of Applied Life Science, SARI, Jeju National University, Jeju 63243, Korea) Corresponding author
  • 신용균(제주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식물자원환경전공) | Yonggyun Shin (Majors in Plant Resource Sciences & Environment, College of Applied Life Science, SARI, Jeju National University, Jeju 63243, Korea)
  • 조현숙(제주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식물자원환경전공) | Hyeon Suk Jo (Majors in Plant Resource Sciences & Environment, College of Applied Life Science, SARI, Jeju National University, Jeju 63243,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