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다르덴 형제 영화의 객관적 시점에 의한 시선 연출 연구 : <로제타>와 <자전거를 탄 소년> 분석 KCI 등재

A Study on Gaze Directing through the Objective Point of View Seen in Dardenne Brothers’ Films : An Analysis of an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456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000원
한국과 세계 (Korea and World Review)
한국국회학회 (Korea Society of Assembly Studies)
초록

이 연구는 카메라의 시선, 즉 시점에 관한 정의와 분석을 통해 다르덴 형제의 작품 <로제타>와 <자전거를 탄 소년>에서 나타나는 객관적인 시 점 샷을 다룬다. 카메라의 시점 샷은 주관적인 시점과 객관적인 시점으 로 구분 지을 수 있다. 주관적인 시점은 관객에게 공감을 불러일으켜 이 야기의 집중도를 높인다. 반면에 객관적인 시점은 관객이 등장인물을 관 망하게 하여 관객의 편안한 시청을 유도할 수 있지만, 극 중 인물에 대 한 감정이입을 끌어내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그래서 일반적인 극영화가 주관적인 시점 샷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에 비해 객관적인 시점 샷의 사용 빈도는 상대적으로 낮다. 하지만 다르덴 형제의 극영화에서는 객관 적인 시점 샷을 중심으로 화면이 구성된다. 이런 배경을 토대로 연구를 진행한 결과 연구의 중심에 있는 영화 <로제타>와 <자전거를 탄 소년> 에서 역시 이 다큐멘터리 기법과 객관적인 시점 샷으로 구성된 연출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다르덴 형제가 구성한 객관적인 시점 샷은 사 회적 약자, 소외된 계층에 있는 사람들의 현실을 전달하고자 하는 그들 의 의도를 반영하는 데 효율적인 샷이란 사실 역시 확인하게 되었다. 또 한, 다르덴 형제는 객관적인 시점 샷을 통해 관객을 관찰자로 만들어 영 화에서 일어나는 상황을 관망하게 만들고, 그로 인해 극 중 인물의 가혹 한 현실을 관객들에게 전달하고자 한 것이라는 사실 역시 파악되었다.

This study is mainly to find out objective viewpoint shots seen in Dardenne Brothers' works by defining and analyzing the the camera gaze, which is gaze directing. The subjective viewpoint shot helps the audience arouse sympathy and get more absorbed in the story. On the other hand, the objective viewpoint shot can induce the audience to comfortable viewing since they can freely observe each character, but it has a limitation in drawing feelings of empathy with each drama character. In ordinary drama films, therefore, the objective viewpoint shot is actively adopted, but the subjective viewpoint shot is used relatively low in frequency. In Dardenne Brothers' drama films, however, most of the scenes are mainly composed of objective viewpoint shots. Based on such a background,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ir gaze directing was composed of documentary techniques and objective viewpoint shots in their films <Rosetta> and <The Kid with a Bike> as research subjects. It was also confirmed that such objective viewpoint shots were effective in reflecting their intention to convey the reality of socially underprivileged people and economically disadvantaged classes.

목차
I. 서론
II. 카메라의 시선
    1. 주관적 시점 - 감정 동질화
    2. 객관적인 시점 - 인물과 거리두기
III. 다르덴 형제의 시선
    1. 객관적인 시점으로 바라본 <로제타>
    2. 객관적인 시점으로 바라본 <자전거를 탄 소년>
IV.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최주연(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 | Joo-Yeon Choi (Dongguk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