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관광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관광객 친화 공감형 AI 서비스 발전 방안 KCI 등재

A Study on Development Plans for Tourist-friendly Empathetic AI Services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the Tourism Industr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457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800원
한국과 세계 (Korea and World Review)
한국국회학회 (Korea Society of Assembly Studies)
초록

최근 AI를 활용한 관광객 친화 공감형 AI 서비스는 관광 안내, 관광 가이드, 여행 동반자, 관광 상품 추천, 관광 이벤트 홍보 등의 서비스 를 통해 관광객 편의와 만족도를 높이고, 관광산업의 활성화에 이바지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경쟁이 치열한 관광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관광객 친화 공감형 AI 서비스를 발전시킬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관련 선행연구가 부족한 상황 을 고려하여 단행본, 신문기사, 전문잡지 등을 최대한 고찰하여 방안을 도출했다. 그 결과, 첫째, 관광객 개별 고객의 욕구에 최적화되고 개인화 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둘째, 관광지의 관광시설과 관광 전 담인력 서비스의 운영을 효율적으로 개선할 방안으로 발전해야 한다. 셋 째, 다양한 장애 요인으로 인해 체험 불가 시 관련 관광 상품과 서비스 를 이용할 방안을 개발해야 한다. 넷째, 관광산업의 지속가능성을 강화하 는 방안으로 발전해야 한다.

The recent tourist-friendly empathetic AI service using generative AI will increase tourist convenience and satisfaction and contribute to revitalizing the tourism indus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ways to develop a tourist-friendly empathetic AI service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the highly competitive tourism industry. To this end, considering the lack of related research, we reviewed books, newspaper articles, and specialized magazines as much as possible to come up with a development plan. As a result, first, it is necessary to provide customized services that are optimized and personalized to the needs of individual tourists. Second, measures must be developed to efficiently improve the operation of tourist facilities and tourism personnel services at tourist destinations. Thi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ways to use related tourism products and services when experiences are not possible due to various obstacles. Fourth, measures must be developed to strengthen the sustainability of the tourism industr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1. 인공지능(AI)의 이해
    2. 관광객 친화 공감형 AI 서비스의 이해
    3. 인공지능(AI)이 관광산업의 경쟁력 강화에 미치는 영향
Ⅲ. 사례분석
    1. 관광시설과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휴가철 관광지
    2. 관광객의 안전과 편리성 강화: 자율주행 셔틀과 함께 하는 관광
    3. 개인화된 맞춤형 서비스: 외식산업과 호텔산업에서의 AI 로봇
Ⅳ. 관광객 친화 공감형 AI 서비스 발전 방안
    1. AI 서비스 구축을 위한 고려사항
    2. 관광객 친화 공감형 AI 서비스 발전 방향
    3. 관광객 친화 공감형 AI 서비스의 구체적 발전 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이웅규(백석대학교) | Woong Kyu LEE (Baekseok University)
  • 오정학(백석대학교) | Jung Hag Oh (Baekseok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