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반도 도서지역의 식물사회네트워크 분석 KCI 등재

Analysis of Plants Social Network on Island Area in the Korean Peninsul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459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9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본 연구는 난온대림에 속한 도서지역에서 조사한 대량의 식생 데이터로 식물사회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식물군락의 수종간 상호관계를 파악하고자 했다. 상록활엽수 성숙림에 출현하는 교목성 후박나무·구실잣밤나무·생달나무·광나무, 관목성 돈나무·자금우, 덩굴성 마삭줄·멀꿀이 서로 강한 양성결합(+)을 보였다. 이 수종들은 낙엽활엽수종과는 음성결 합(-)하거나 친소관계가 없었는데 이는 입지환경 차이가 크기 때문이다. 식물사회네트워크 소시오그램에서 4개의 그룹 으로 묶어 상록활엽수종인 그룹Ⅰ과 낙활엽수종인 그룹Ⅱ의 수종간에는 중심성과 연결성이 높게 나타났다. 소시오그램 의 수종(노드) 배치와 연결정도(그룹화)는 DCA분석와 같이 환경요인과 식물군집의 특성을 간접적으로 추정 가능한 것으로 분석됐다. 식물사회네트워크상 중심성과 영향력이 큰 수종은 마삭줄·사스레피나무·생강나무·때죽나무 등이었 다. 이 수종은 생태적 지위의 범위가 넓은 일반종이면서 숲틈과 훼손지 등에 흔히 출현하는 기회종의 특성과 생존전략을 갖는 것으로 보인다. 이 수종들이 식물군집의 종간 상호작용과 군집의 구조와 기능 변화에 그 역할이 클 것이다. 하지만 실제 식물사회에서 어떤 상호작용을 통해 식물군집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지는 장기적인 연구와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하다.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tree species in plant communities through Plant Social Network (PSN) analysis using a large amount of vegetation data surveyed in an island area belonging to a warm-temperate boreal forest. The Machilus thunbergii, Castanopsis sieboldii, and Ligustrum japonicum, which belong to the canopy layer, Pittosporum tobira and Ardisia japonica, which belong to the shrub layer and Trachelospermum asiaticum and Stauntonia hexaphylla, which belong to the vines, appearing in evergreen broad-leaved climax forest community, showed strong positive association(+) with each other. These tree species had a negative association or no friendly relationship with deciduous broad-leaved species due to the large difference in location environments. Divided into 4 group modularizations in the PSN sociogram, evergreen broad-leaved tree species in Group Ⅰ and deciduous broad-leaved tree species in Group Ⅱ showed high centrality and connectivity. It was analyzed that the arrangement of tree species (nodes) and the degree of connection (grouping) of the sociogram can indirectly estimate environmental factors and characteristics of plant communities like DCA. Tree species with high centrality and influence in the PSN included T. asiaticum, Eurya japonica, Lindera obtusiloba, and Styrax japonicus. These tree species are common with a wide range of ecological niches and appear to have the characteristics and survival strategies of opportunistic species that commonly appear in forest gaps and damaged areas. They will play a major role in inter-species interactions and structural and functional changes in plant communities. In the future, long-term research and in-depth discussions are needed to determine how these species actually influence plant community changes through interactions

목차
서 론
연구방법
    1. 연구대상지
    2. 조사 및 분석방법
결과 및 고찰
    1. 대상지 개황 및 출현 수종
    2. 종간결합 분석
    3. 소시오그램 및 중심성 분석
    4. 네트워크 구조
    5. 종합고찰
REFERENCES
저자
  • 이상철(부산대학교 응용생태연구실 연구원) | Sang-Cheol Lee (Applied Ecology Lab., Pusan National Univ., Miryang 50463, Korea)
  • 강현미(국립목포대학교 도시계획 및 조경학부 조경학전공 부교수) | Hyun-Mi Kang (Dept. of Urban Planning and Landscape Architecture Major in Landscape Architecture, Mokpo National Univ., Muan 58554, Korea)
  • 박석곤(국립순천대학교 산림자원·조경학과 교수) | Seok-Gon Park (Dept. of Forest Resources and Landscape Architecture, Sunchon National Univ., Suncheon 57922,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