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지지, 스트레스대처 방식이 신세대 장병의 군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ir Self-esteem, Social Support, and Stress Coping Strategy On New-generation Soldiers' Adaptation to Military Lif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465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900원
초록

본 논문의 연구문제는 첫째, 신세대 장병의 인구통계학적 특징과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 스트 레스대처 방식을 파악하며, 둘째, 신세대 장병의 인구통계학적 특징과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 스트레스대처 방식이 군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SPSS 21 통계프로그램을 활 용하여 요인분석, 상관관계,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존중감이 군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F검정의 회귀모형이 적합하여 가 설 1이 채택되었다. 또한 긍정적 자아존중감, 부정적 자아존중감이 군생활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쳐 가설 1-1이 채택되었다. 둘째, 사회적지지가 군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F검 정의 회귀모형이 적합하여 가설 2가 채택되었다. 동료지지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친구와 부모의 지지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가설 2-1이 부분채택 되었다. 셋째, 스트레스대처의 하위요인이 군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모든 F검정의 회귀모형이 적합하여 가설 3이 채택되었다. 행동적 대처, 회피적대처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으나, 인지적 지지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아 가설 3-1은 부분채택 되었다. 장병들의 군생활적응을 높이기 위해서는 장병들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지지, 스트레스대처를 높일 수 있는 연구가 진행되어 장병들의 변화되는 욕구를 반영할 수 있는 대안들이 모색되어야 한 다. 또한 장병들의 전인적 성장과 군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 동료동 행 프로그램, 지휘자-장병 공동 프로그램 등의 개발과 정책이 강구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esteem, social support, and stress coping strategy in new-generation soldiers, to find effective response measures, and thus to improve their military life adaptation capabilities. The specific research hypotheses are as follows. First, new-generation soldie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eir self-esteem, social support, and stress coping strategy are identified. Second, new-generation soldie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e effects of their self-esteem, social support, and stress coping strategy on their adaptation to military life are analyzed. Using the SPSS 21 statistical program, factor analysis, correlational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revealing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 the effects of soldiers' self-esteem on their adaptation to military life were analyzed, proving the F-test's regression model to be suitable, and thus leading to hypothesis 1 to be adopted. Also, positive self-esteem and negative self-esteem-which are the subordinate factors of army soldiers' self-esteem-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adaptation to military life, leading hypothesis 1-1 to be adopted. Second, the analysis of soldiers' social support on their adaptation to military life proved F-test's regression model to be suitable, leading hypothesis 2 to be adopted. Colleague support, one of social support's variables, had a significant effect, while friends' support and parents' support had no significant effects, leading hypothesis 2-1 to be partially adopted. Third, the analysis of subordinate factors of stress coping strategy on adaptation to military life proved all F-test regression models to be suitable, leading hypothesis 3 to be adopted. Behavioral coping and evasive coping-which are subordinate variables of stress coping strategy - had significant effects, while cognitive support had no significant effects, leading hypothesis 3-1 to be partially adopted. To improve soldiers' adaptation to military life, research on the enhancement of their self-esteem, social support, and stress coping capabilities should be further conducted to work out measures for accepting their changing desires. Also, self-esteem enhancement programs, colleague pairing programs, and commander-soldier joint programs and policies - which have effects on soldiers' whole growth and their adaptation to military life-should be worked out.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자아존중감
    2. 사회적지지
    3. 스트레스대처 방식
    4. 군생활적응
Ⅲ. 연 구 설 계
    1.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2. 측정도구의 요인분석과 신뢰도
    3. 자료 분석 방법
    4. 연구대상 및 자료처리
Ⅳ. 실증분석 및 해석
    1.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
    2. 자아존중감이 군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3. 사회적지지가 군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4. 스트레스대처가 군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5. 가설검증의 결과요약
Ⅴ. 결 론
    1. 요약 및 결론
    2. 연구의 시사점
    3. 제언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정신섭(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조교수) | Jung Shin-sub (Professor in Hanyuong Theological University)
  • 김용균(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 Ph.D. 과정중) | Kim Yong-kyun (Candidate of The Graduate School in Hanyuong Theologic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