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아동이 인지하는 부모양육태도와 사회적지지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mpact on social support and parental attitude in which we think children are smartphone addic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467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700원
초록

본 연구는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양육태도와 사회적지지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 지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인천광역시 남구 소재의 3곳의 초등학생 4∼6학년을 대상으로 설 문하였고 총 422부를 회수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방법은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 여 빈도분석, 평균비교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설 1의 부모양육태도는 스마트폰 중독과 부적 상관관계를 나 타내었고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부모의 양육태도가 수용·자율적 태도일수록 스마트폰 중독 이 낮게 도출되었다. 가설 2의 사회적지지는 스마트폰 중독과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것은 사회적지지가 높을수록 스마트폰 중독이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아동의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아동에게 적합한 부모님의 양육태도가 요구되며, 긍정적인 또 래관계 형성을 위하여 스마트폰 중독 예방교육 및 치유프로그램 등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Parenting attitude and social support, the children perceive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find out whether addicts, the impact of any smart phone. For this, Nam-gu, Incheon Metropolitan City, Thre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4 to 6 survey in the students in and reclaimed to analyze the data and a total of 422 copie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average data frequency analysis using the program, statistical analysis method is SPSS 18.0,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ly,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Parenting attitude of the Hypothesis 1 indicates negative correlation with addiction smart phone and appear to have statistically relevant. Parenting attitude embraced autonomous manner and observe Smart phone addiction are drawn low. Hypothesis two negative correlation with social support in the smart phone addiction and appear to have statistically relevant. This is the higher the social support, are addicted to smart phones means low. Smart phone addiction in children, therefore, appropriate for children in order to prevent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 is required, positive peer relationships for smart phones Development of healing programs and addiction prevention education is requir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부모양육태도
    2. 사회적지지
    3. 스마트폰 중독
Ⅲ. 연구방법
    1.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2. 연구 대상 및 측정도구
    3. 자료 분석 방법
    4. 연구대상 및 자료처리
Ⅳ. 분석 결과
    1. 변수별 상관관계분석
    2. 가설 검증
    3. 가설검증의 결과요약
Ⅴ. 논의 및 결론
    1. 논의 및 결론
    2. 연구의 제언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정신섭(한영신학대학교 사회복지학 교수) | Jung Shin-Sub (Professor the Graduate School in Hanyoung Theological University)
  • 박창선(한영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 | Park Chang-Sun (Dept. of social welfare at Graduate school of Hanyoung Theologic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