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중년기 재교육(학점은행제) 참여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Middle-Aged Retraining (Credit Bank System) on the Quality of Lif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467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900원
초록

이 연구는 재교육(학점은행제) 참여가 중년기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 다. 이를 위해 첫째, 중년기 재교육(학점은행제) 참여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알아보고, 둘째, 사회인구 학적 특성과 삶의 질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셋째, 참여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이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 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넷째, 중년기의 재교육(학점은행제) 참여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해 참여자의 주관적 삶의 질을 사후 조사하였다. 연구의 자료는 경기도 내 전문대학교 1개교, 대학교 1개교, 서울소재 대학교 1개교의 재교육(학점은행제) 참여자 236명의 설문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방법은 SPSS 18.0프로그램으로 중다회귀분석, 사후조사 등을 활용하였다. 평생교육을 통한 재교육 참여가 주관적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관적인 삶의 질에 대한 설문을 통해 자기효능감은 설문 참여자의 83.9%가 향상되었다고 응답하 여 .9%가 향상시켰다. 둘째, 행복감도 높아졌다는 응답자 201명으로 전체의 85.17%로 나타나 중년기 학점은행제 참여가 주관적 행복감을 향상시켰다. 셋째, 자존감의 경우 높아졌다는 응답이 202명으로 전 체의 85.6%로 나타나 중년기 학점은행제 참여가 주관적인 자존감을 향상시켰다. 넷째, 생활만족에 대한 질문에 높아졌다는 응답이 188명으로 전체의 79.7%를 차지하여 중년기 학점은행제 참여가 주관적 생활 만족도를 향상시켰다. 다섯째, 우울감을 묻는 질문에는 낮아졌다는 응답이 235명으로 전체의 99.6%를 차지하였다. 특히 우울감이 매우 낮아졌다는 응답이 전체의 91.53%가 응답하여, 주관적 우울감이 감소 되었다는 응답이 전체 응답자의 99.6%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로 중년기의 신체적, 사회적, 정서적 변화의 특성에 재교육(학점은행제)이 긍정 적으로 작용하여 삶의 질이 향상되었다. 따라서 중년기의 우울이나 교육에 대한 욕구를 해결하는 방법으 로 학점은행제가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중년기의 특징을 이해하고 고령 화와 정보사회에 대비한 재교육에 대한 다양한 평생교육 정책 및 제도 개발의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middle-aged retraining(credit banking) on the quality of life. First, this study has examined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the middle-aged retraining(credit bank system) participants. Second, this study has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quality of life. Third, this study has analyzed the effect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n the quality of life. Fourth, this study conducted a post survey of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of the participants in order to see the effect of the middle-aged retraining (credit banking system) on the quality of life. To collect the data, this study has analyzed the questionnaires of 236 participants in 1 vocational college and 1 university located in Gyeonggi-do and 1 university in Seoul. For the study method, this study conducte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a post-test using SPSS 18.0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participation in the middle-aged retraining through lifelong education on subjective life satisfact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questionnaire on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83.9% of respondents replied that their self-efficacy improved, indicating .9% improvement. Second, 201 respondents(85.17%) replied that their happiness improved, indicating the middle-aged retraining(credit bank system) has improved their subjective happiness. Third, for the self-esteem, 202 respondents(85.6%) replied that their participation in middleaged credit banking improved their subjective self-esteem. Fourth, 188 respondents(79.7%) replied that their life satisfaction improved, indicating their participation in middle-aged credit banking improved subjective life satisfaction. Fifth, for the depression, 235 respondents (99.6%) replied that the depression was reduced. Particularly, 91.53% of respondents replied the depression was reduced significantly, indicating that 99.6% of the respondents experienced the reduction of their subjective depression.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e middle-aged retraining(credit banking)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characteristics of physical, social and emotional changes in the middle age, thus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credit banking system is important as a way to resolve the depression and the desire for education in the middle 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able to be used as useful basic data for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ddle age and for developing various lifelong education policies and systems in response to an aging and information society.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Ⅱ. 이론적 배경
    1. 평생교육
    2. 삶의 질
Ⅲ. 연구방법
    1. 연구모형
    2. 연구문제
    3. 조사도구
    4. 자료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1. 삶의 질
    2. 주관적 삶의 질
    3.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삶의 질
Ⅴ. 결 론
    1. 결론
    2.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홍숙자(단국대학교 초빙교수) | Hong Sook-Ja (Professor the Graduate School in Dankook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