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Maternal and Child Care on Nursing Behavior of Maternal and Child Care Centers - The relationship between conjugal relationships and mothers ' self-esteem -
본 연구는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영유아 자녀를 둔 어머니 145명을 대상으로, 원가족 건강성이 어머니 의 자아존중감, 자녀양육태도 간의 관계를 밝히고 이들 사이의 상대적 영향 관계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각 변수의 일반적인 경향, 변인간의 매개효과를 통계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첫째 요인분석을 실 시해서 잠재변수의 타당성과 신뢰도를 검증하고,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둘째, 단순회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원가족 건강성이 자녀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 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검증된 가설을 바탕으로 하여, 다음의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어머니의 원가족 건강성은 자녀양육태도 및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어머니의 자아존중감도 자녀양육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영유 아 발달의 주요환경인 어머니의 변인이 어머니의 자녀양육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탔다는 점에서 부모양육태도의 중요성과 부모교육에서 부모의 자녀양육에 대한 부분이 강조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self-esteem and child rearing attitude and the relativ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mother and child health of 145 mothers with infant children who are financed at day care center. In order to statistically validate the general trends and mediating effects of variables, first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latent variables and to analyze the correlation. Seco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family health and child rearing attitude. Based on the hypotheses tested in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it was confirmed that mother's original family health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hild rearing attitude and mother's self-esteem. The self-esteem of mother showed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hildrearing attitud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mother's variables, which is the main environment for infant development, may affect the mother's child rearing attitu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