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재가 방문요양기관의 평가체계 인식에 관한 연구 - MDIS(MicroData Integrated Service)마이크로 데이터를 중심으로 -

Abstrac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Elderly Suicide - Focus on the MDIS(MicroData Integrated Service)Micro Data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468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700원
초록

지금까지의 노인자살 연구들은 대부분이 노인자살에 관한 이론적 조망과 그에 따른 노인자살 요인들을 파악하는 데 집중되어 왔다. 그래서 노인자살의 예방대책에 관한 논의는 개괄적이고 제안적인 수준에 머 무르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자살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하기 위한 자살예방사업 및 인프라가 극히 미비한 상태이 며 특히 노인자살의 특수성이 정책에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 우리사회에서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노인 자살문제에 대해 효과적이고 실효성 있는 정책과 대안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노인자살에 대한 정확한 특성 과 실태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자는 통계청에서 제시하고 있는 마이크로데이터를 활용해 MDIS(MicroData Integrated Service)에서 2017년 10월 31일 공개된 통계 기초자료(Microdata)인 인구동향조사 「2016년 사망(원인) 통계」마이크로데이터를 수집하여 우리나라 자살에 대한 특성 및 실 태를 역학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실천적이고 정책적인 제언을 제시하였다. 분석방법은 자살통계 데이터를 중심으로 첫째, 자살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자살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자살특성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Most of the studies on elderly suicide have focused on the theoretical view on suicide of the elderly so far, It has been focused on identifying factors. Therefore, discussions on preventive measures against suicide of the elderly are generaland It is at the restrictive level. Currently, suicide prevention projects and infrastructure to prevent suicide are in an insufficient state. Therefore, the specificity of the suicide of the elderly is not reflected in the policy.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exact trait and actual condition of suicide in the elderly in order to present effective and effective policies and alternatives to the issue of suicide in the elderly In our society. Using the Micro-data provided by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 researchers collected population trend survey "microdata" published on October 31, 2017 from the MDIS(MicroData Integrated Service) Death (cause) of 2016 and analyzed the trait and actual condition of suicide as well as presented practical and policy suggestions. The method of analysis was suicide Frequency, an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 demographic an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Second, crossover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suicid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노인자살 정의
    2. 노인자살에 대한 이론적 고찰
    3. 우리나라 노인자살의 현황
Ⅲ. 연구방법
    1. 자료수집
    2. 측정도구
    3. 분석방법
Ⅳ. 연구 결과
    1. 전국 자살자에 대한 특성 및 비교
    2. 노인 자살자에 대한 인구사회학적 특성
    3. 노인 자살자에 성별에 따른 자살 특성 비교
    4. 노인 자살자에 연령에 따른 자살 특성 비교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이광재(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 석좌 교수) | Kwang Gae Lee (Lecturer, Dept. of Social Welfare, Open Cyber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