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노인의 사회적 자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Mediating effect of communication ability on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f the elderly on quality of lif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471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300원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사회적 자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를 규명 하여 노인의 사회적 자본, 의사소통능력, 삶의 질의 향상을 위한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되는데 기여할 수 있는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도출해 내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첫째, 노 인의 사회적 자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노인의 사회적 자본이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노인의 사회적 자본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의사소통능 력은 어떠한 매개효과를 가지는가로 설정하였다. SPSS Ver.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기법으로는 측정도구의 신뢰 도를 검증하기 위해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영향관계와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 였다. 분석결과 첫째, 노인의 사회적 자본 요인인 관계망, 신뢰, 규범이 삶의 질에 중요하고 긍정적인 영향 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참여는 영향이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사회적 자본 요 인인 관계망, 규범, 참여가 의사소통능력에 많은 긍정적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나, 신뢰는 영향 이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의사소통능력은 사회적 자본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매개변인로 서의 매개효과가 부분채택되었다. 사회적 자본의 하위요인인 관계망 요인, 규범 요인은 의사소통능력은 사회적 자본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매개변인로서의 매개효과가 있었으나, 신뢰와 참여 요인은 매개효과 가 없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communication ability on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f the elderly on quality of life, and to contribute to being used as important basic data for improving social capital, communication ability an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It is to derive practical policy implications. The research questions to achieve this goal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effect of the social capital of the elderly on the quality of life? Second, how is the social capital of the elderly on the ability to communicate? Third, the social capital of the elderly In the process of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the mediating effect of communication ability was set. SPSS Ver.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22.0 program, and reliability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 using the analysis method, and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effect and mediating effec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social network factors of the elderly, such as network, trust, and norm, have a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 on quality of life, but participation does not. Second, the social network factors of the elderly, such as network, norm, and participation, were found to have many positive influences on communication skills, but trust did not. Third, the me-diating effect as a mediating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quality of life was partially adopted for communication ability. As a sub-factor of social capital, network factors and normative factors, communication ability had a mediating effect as a mediating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quality of life, but trust and participation factors had no mediating effect.

목차
1.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노인의 사회적 자본
    2. 삶의 질
    3. 의사소통능력
Ⅲ. 연구방법
    1. 연구모형
    2. 연구가설
    3. 연구대상
    4. 측정도구
    5. 자료 분석 방법
Ⅳ. 연구 결과
    1. 모형1 : 노인의 삶의 질에 대한 사회적 자본 회귀분석(매개변인인 의사소통능력 제외)
    2. 모형2 :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사회적 자본의 회귀분석
    3. 모형3 : 노인의 삶의 질에 대한 사회적 자본의 회귀분석(의사소통능력 포함)
    4. 매개효과를 위한 모형 비교
    5. 가설검증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정신섭(서울한영대학교 교수) | Jung Shin Sub (Professor in Seoul Hanyoung University)
  • 서카리스(서울한영대학교 박사과정) | Seo Charis (Candidate of the Graduate School in Seoul Hanyoung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