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표면조도는 건축구조물에 작용하는 풍속과 난류강도의 연직분포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KDS 2022에서 지표면조 도구분은 목안측정법으로 판정되고 두 가지 이상의 지표면조도가 혼재되어 있는 경우 중간상태의 지표면조도구분을 적용해야 한다. 이런 접근법은 엔지니어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존하여 풍하중 산정의 불확실성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 구에서는 환경부가 제공한 토지피복지도를 활용하였으며, 지표면상태가 혼재되어 있는 경우 ESDU의 경계층 이론에 따라 유효한 바 람의 연직분포를 생성하였다. 토지피복지도를 활용하여 대표적인 10개 지역의 지표면상태를 구분하였으며, KDS, ISO 그리고 ESDU 에 따른 판정법에 의해 결정된 지표면조도구분을 비교하였다.
Wind exposures can have a pivotal impact on wind speed and turbulence intensity profiles for building structures. In the KDS 2022, a visual inspection method is employed to determine wind exposure categories, and a middle exposure category is to be applied when two or more wind exposures are involved. This approach relying upon an engineer’s subjective judgement can lead to a negative uncertainty in wind load estimations. To resolve this issue, land cover maps provid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were employed in this study. When two or more terrain roughnesses were mixed, an effective wind distribution was generated using the boundary layer theory of ESDU. Terrain roughnesses in representative 10 regions were categorized through using land cover maps, and wind exposure categories determined by applying methods per KDS, ISO and ESDU were compa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