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왕벚나무 수피 추출물의 아미노산, 지방산 분석 및 항산화 활성 KCI 등재

Analysis of Amino Acids, Fatty Aci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Prunus yedoensis Matsum. Bark Extracts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496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Korean Society of Food Hygiene and Safety)
초록

본 연구는 국내산 왕벚나무 수피를 건강기능식품 소재 로서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용매별 추출물에 대 한 특성 분석과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다. 용매별 소재 의 아미노산과 지방산 분석을 통하여 성분함량 및 조성 차이를 확인하였고, 항산화 활성 비교를 위해 총 폴리페 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 FRAP 활성을 측정 및 비교 후 상 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아미노산 분석 결과, 열수 추출물, 30% 에탄올 추출물,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13종의 아미 노산이 검출되었고, 주요 아미노산으로 aspartic acid, arginine, proline으로 분석되었으며, 총 아미노산 함량은 각 각 0.17%, 0.16%, 0.09%로 확인되었다. 지방산 분석 결과, 포화지방산(SFA)이 열수 추출물, 30% 에탄올 추출물,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62.7-66.7%로 높은 조성비를 보였고, 확인된 지방산은 열수 추출물에서 behenic acid (C22:0)을 제외한 13종의 지방산이 검출되었으며, 30% 에탄올 추출 물과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14종 지방산이 검출되었다. 주요 지방산은 열수 추출물, 30% 에탄올 추출물, 70% 에 탄올 추출물에서 palmitic acid (C16:0)로 확인되었고, 총 지방산 함량은 각각 0.66 mg/g, 2.46 mg/g, 10.04 mg/g으 로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다. 총 플라보노이 드와 총 폴리페놀 함량은 열수 추출물, 30% 에탄올 추출 물,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727.70-769.87 mg QE/ g, 309.24-348.09 mg GAE/g이었다. 항산화 활성 측정 결 과 열수 추출물, 30% 에탄올 추출물, 70% 에탄올 추출물 에서 DPPH 라디칼 소거능은 0.05-1 mg/mL 농도에서 각 각 14.42-81.77%, 16.85-83.38%, 19.33-81.12%의 결과를 보였고, ABTS 라디칼 소거능은 0.05-1 mg/mL 농도에서 각각 6.32-89.55%, 16.14-70.61%, 8.99-92.08%의 결과를 보 였으며, FARP 활성은 0.05-0.5 mg/mL 농도에서 각각 0.32- 2.91, 0.07-0.61, 0.39-3.43으로 나타나 농도 의존적으로 항 산화 효과를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용매별 추출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총 폴리페놀 함량과 항산화 활 성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높은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P<0.01). 본 연구결과를 통해 왕벚나무 수피 추출 물을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소재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mino acid content, fatty acid composition, total flavonoid and 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Prunus yedoensis Matsum. bark extracts using various extraction solvents. Through amino acid analysis, 13 amino acids were detected in extracts obtained using hot water, 30% ethanol, and 70% ethanol. The major amino acids were identified as aspartic acid, arginine, and proline, and the total amino acid content was 0.17%, 0.16%, and 0.09%, respectively. Fatty acid analysis showed a saturated fatty acid (SFA) ratio of 62.7-66.7% in extracts obtained using hot water, 30% ethanol, and 70% ethanol, with the primary fatty acid identified as palmitic acid. The total flavonoid and polyphenol contents were 727.70-769.87 mg quercetin equivalent (QE)/ g and 309.24-348.09 mg gallic acid equivalent (GAE)/g, respectively, in extracts obtained using hot water, 30% ethanol, and 70% ethanol extracts. Measurements of antioxidant activity confirmed that extracts obtained using hot water, 30% ethanol, and 70% ethanol extracts increased the antioxidant effect in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A high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total flavonoid content,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extracts. This study provides data and novel insights for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 materials using P. yedoensis Matsum. bark extracts.

목차
Materials and Methods
    추출물 제조
    표준품 및 시약
    아미노산 분석
    지방산 분석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
    ABTS 라디칼 소거능 측정
    FRAP 활성 측정
    통계분석
Results and Discussion
    아미노산 조성 및 함량
    지방산 조성 및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및 총 폴리페놀 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
    FRAP 활성
    상관관계분석
Acknowledgment
국문요약
Conflict of interests
ORCID
References
저자
  • 박성환((주)하람 중앙연구소) | Sung-Hwan Park (Haram Central Research Institute, Cheongju, Korea)
  • 최예은((주)하람 중앙연구소) | Ye-Eun Choi (Haram Central Research Institute, Cheongju, Korea)
  • 양정모((주)하람 중앙연구소) | Jung-Mo Yang (Haram Central Research Institute, Cheongju, Korea)
  • 정채원((주)하람 중앙연구소) | Chae-Won Jeong (Haram Central Research Institute, Cheongju, Korea)
  • 조현덕((주)하람 중앙연구소) | Hyun-Duck Jo (Haram Central Research Institute, Cheongju, Korea)
  • 조주현((주)하람 중앙연구소) | Ju-Hyun Cho (Haram Central Research Institute, Cheongju,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