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중국 다이족(傣族) 전통마을의 공간구성 및 경관요소 연구 - 한사(喊沙)마을을 대상으로 - KCI 등재

A Study on Space Composition and Landscape Elements of Dai Traditional Village in China - Target at the Hansa Village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524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본 논문은 주로 현장조사와 문서수집을 통해 중국 윈난다이징포자치주 루이리시 더훙 다이족 전통마 을의 현황과 현대 사회발전이 덕홍 다이족 전통마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먼저 더훙지역의 지 형, 기후 등 자연배경과 사회구조, 문화적, 역사적 배경을 통해 덕홍 다이족 마을의 입지선정에 대한 역 사적 이유를 확인하였다. 그 중 문헌조사를 통해 더훙시 다이족의 16개 무형문화재 보호마을 중 가장 잘 보존된 곳이 한사마을임을 확인하였고 다이족 전통마을 경관연구의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본 논문 에서는 한사마을을 공간구성과 경관요소로 나누어 조사 및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사마을은 자 연공간, 농업공간, 생활공간, 도로공간, 공공활동공간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마을 외곽 경계부는 대나무숲으로 둘러싸여 독립적인 형태를 띤다. 내부 공간구성은 채두(寨頭), 채심(寨心), 채미(寨尾)의 세 결절점을 중심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구심점을 통해 전체 마을 공간의 조직과 원시종교, 상좌부 불교가 어우러져 내향성을 더욱 확고히 하는 형태를 보인다. 한사마을의 경관요소는 건축, 식재, 시설물로 구 분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건축경관 측면에서는 한사마을의 독특한 종교와 기후, 한족 문화의 영 향을 받은 독특한 빌라식(别墅式), 건란식(乾欄式) 건축양식을 확인했다. 둘째, 한사마을 현장조사를 통해 불교의 영향과 자급자족하는 등 상징성 및 실용성을 강조하는 식재경관의 특징을 발견하였다. 시 설물은 대불교의 도덕이론에 기초를 두고 있으며, 시설의 스타일과 기능도 이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조사와 연구를 통해 한사마을의 공간 배치는 민족의 역사와 종교로부터 배태(胚 胎)된 결과라는 결론을 도출하였으며, 종교적 신념과 공동체적 정신이 마을 전체를 지배하고 행태를 통제하는 경관을 보임을 확인하여 마을의 특수성과 보전 가치를 입증하였다.

This paper mainly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of the Dehong Dai traditional village in Ruili City, Yunnan Daijingpo Autonomous Prefecture, China, and the impact of modern social development on the Dehong Dai traditional village through field research and document collection. First, the historical reasons for selecting the location of the Dehong Dai village were confirmed through the natural background, social structure, cultural, and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Dehong region, including topography and climate. Among them, through a literature survey, it was confirmed that Hansa Village was the best preserved among the 16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rotected villages of the Dai people in Dehong City, and it was selected as the target site for landscape research on the Dai traditional village. In this paper,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Hansa Village by dividing it into spatial composition and landscape elements are as follows. Hansa Village is divided into natural space, agricultural space, living space, road space, and public activity space. The outer boundary of the village is surrounded by a bamboo forest and takes an independent form. The internal space composition is Chaedu(寨頭), Chaesim(寨心) and Chaemi(寨尾). It is formed around the three nodal points of the heart and the body, and through these central points, the organization of the entire village space, primitive religion, and Theravada Buddhism come together to further solidify the inwardness. The landscape elements of Hansa Village were divided into architecture, planting, and facilitie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architectural landscape, the unique religion and climate of Hansa Village and the unique villa-style and Jianran-style architectural styles influenced by Han Chinese culture were confirmed. Second, through field research in Hansa Villag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nting landscape that emphasize symbolism and practicality, such as the influence of Buddhism and self-sufficiency, were discovered. The facility is based on the moral theory of Great Buddhism, and the style and function of the facility were also analyzed to have been influenced by this. Through the above investigation and research, it was concluded that the spatial arrangement of Hansa Village is the result of the embryo from the history and religion of the people, and it shows that religious beliefs and community spirit dominate the entire village and control behavior. This confirmed the villages uniqueness and conservation value.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
    2.2 조사 및 분석방법
3. 결과 및 고찰
    3.1 다이족의 문화형성
    3.2 한사마을의 환경
    3.3 한사마을 공간구성
    3.4 한사마을 식재
    3.5 한사마을의 시설경관
4. 결론
References
저자
  • 항뢰뢰(전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Loeloe Ha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Jeonbuk National University)
  • 정푸름(전북대학교 조경학과) | Pooreum Jeo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Jeonbuk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